기후위기, 북극곰 아닌 우리 사회·인권 문제

기후위기, 북극곰 아닌 우리 사회·인권 문제

김기중 기자
김기중 기자
입력 2020-11-26 17:04
업데이트 2020-11-27 01:46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탄소사회의 종말/조효제 지음/21세기북스/480쪽/2만 5000원

이미지 확대
코로나19를 비롯해 사상 최악의 산불, 홍수와 폭설까지. 지구 곳곳에서 벌어지는 무차별적인 재해의 원인이 ‘지구 온난화’ 때문이라는 걸 우린 사실 알고 있다. 그럼에도 행동에는 뜨뜻미지근하다. “지구의 온도를 1도 내려야 한다”는 주장은 와 닿지 않고, 앙상한 북금곰의 모습은 그저 TV 다큐멘터리의 한 장면일 뿐이다. 해수면 상승으로 수몰 위기에 놓인 몰디브의 마우문 압둘 가윰 전 대통령은 이에 관해 “국제사회는 어렵게 도출해 낸 중요한 과학적 합의 사항을 대중의 전어로 번역해서 전달하는 데 실패했다”고 지적했다.

‘지구 가열화’라는 단어 사용을 주장하는 조효제 성공회대 교수는 기후 위기를 단순히 과학 문제가 아닌 사회 문제로 놓고, 나아가 ‘인권’ 문제로 설정해야 한다고 역설한다. 기후 위기를 지구, 생태, 빙하, 해수면, 북극곰의 문제로 조명하기보다 인권 문제로 규정해야 직접적인 행동을 촉발할 수 있기 때문이다. 이글대는 아스팔트, 열대야에 잠 못 이루는 옥탑방, 천식이 심해진 아이, 이상 냉해로 망친 과수 농사, 재고가 쌓여 가는 계절상품으로 고민하는 자영업자들이 더 와 닿는다는 뜻이다.

책은 기후위기와 관련한 국내외 주요 연구와 발표, 기후 운동의 최전선에 있는 기후·인권 단체의 성명과 활동가들의 기록, 현재 실시간으로 진행 중인 구체적인 기후문제와 기후소송 사례 등을 토대로 ‘새로운 인권 담론’을 길어 올린다.

이런 설정이면, 기후 위기는 굉장히 시급한 사안이 되고, ‘탄소배출 제로(0)’를 주장하는 EU 등 유럽국가에 과거 책임을 물을 수 있다. 식민 지배와 제국주의 시대에 무차별적인 개발을 해 놓고, 이제 와서 같은 잣대를 들이대며 다른 나라의 개발을 막는 이들을 비판적인 시각으로 볼 수 있다는 뜻이다. OECD 국가 가운데 온실가스 배출 5위인 ‘기후 악당’인 우리의 모습을 되짚는 기회도 된다. ‘한국형 뉴딜’을 외치며 기후 위기를 일자리 창출로 연결하는 수준이 그저 씁쓸할 뿐이다.

김기중 기자 gjkim@seoul.co.kr

2020-11-27 21면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