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는 60+ 책의 해”…전화로 책 읽어드려요

“올해는 60+ 책의 해”…전화로 책 읽어드려요

김기중 기자
김기중 기자
입력 2021-04-27 14:00
업데이트 2021-04-27 14:0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작가와 함께하는 행북(BOOK) 학교’, ‘백세 인생 내 인생의 책’진행

책을 읽기 어려운 처지에 있는 노인들에게 전화로 책을 읽어주는 ‘전화로 책 읽어 드립니다’. 60세 이상이 직접 글을 쓰고 작가가 되어보는 ‘작가와 함께하는 행북(BOOK) 학교’. 요양원, 노인정 등으로 찾아가 어르신의 삶에서 의미 깊었던 책을 소개받는 ‘백 세 인생 내 인생의 책’.

고령인구 증가에 맞춰 노인들의 독서 증진을 위한 여러 사업이 추진된다. 문화체육관광부는 올해를 ‘2021 60+ 책의 해’로 정하고, 고령층을 위한 독서활동을 지원하는 사업들을 마련했다고 27일 밝혔다.

책을 읽기 어려운 환경에 놓인 ‘60+ 세대’에게 전화로 책을 읽어주며 심리적 안정과 사회적 교류를 꾀하는 ‘전화로 책 읽어 드립니다’가 우선 눈에 띈다. 지자체 3곳을 선정해 낭독 활동가들이 비대면으로 책을 읽어줄 예정이다. ‘60+ 세대가 60+ 글자로 건네는 책 이야기’는 60대 이상이 60글자 이상의 독후감을 쓰는 공모전이다. ‘백세 인생 내 인생의 책’은 유튜브 채널을 통해 공개한다. 소개받은 책은 60+ 책의 해 홈페이지(60book.net)에서 확인할 수 있다.

도서관에서 놀며 즐기는 독서·인문·문화 프로그램 ‘60+ 책 마실 가세’도 진행한다. 전국 10개 도서관을 모집해 큰글자책 활용 프로그램, 조손이 함께 도서관에 방문하는 프로그램 등을 지원한다. 이밖에 60+ 책의 해 캠페인과 방송 프로그램, 책 사진 공모전, 독서 동아리 지원 등 다양한 사업들을 연중 이어간다.

‘60+ 책의 해’ 실행을 위해 출판, 독서, 도서관, 서점, 작가 등 관련 민간단체들이 ‘2021 60+ 책의 해 추진단’을 구성하고 이날 오후 출범식을 온라인으로 열었다. 출범식에서는 ‘60+ 책의 해’ 엠블럼과 표어, 포스터를 공개했다. 엠블럼은 숫자 60과 +, 안경을 활용했다. 표어는 ‘나이가 들다, 독서가 늘다’로 정했다. 문체부는 2018년 ‘책의 해’를 지정하고 특정 부문·계층별로 행사를 추진한다. 지난해에는 ‘청소년 책의 해’로 정해 여러 사업을 진행했다.

김기중 기자 gjkim@seoul.co.kr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