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 문지문학상에 김멜라 작가, 백은선 시인

올해 문지문학상에 김멜라 작가, 백은선 시인

하종훈 기자
하종훈 기자
입력 2021-11-16 21:24
업데이트 2021-11-16 21:24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시 부문 첫 수상

김멜라 작가.    문학과지성사 제공
김멜라 작가.
문학과지성사 제공
올해 문지문학상 수상자로 김멜라(38) 작가와 백은선(34) 시인이 선정됐다. 수상작은 단편 소설 ‘나뭇잎이 마르고’와 시 ‘비밀과 질문 비밀과 질문’이다.

문학과지성사가 주관하는 문지문학상은 등단 10년 이하 작가를 대상으로 한다. 2010년 제정된 이후 소설 작품을 대상으로 운영되다가, 올해부터 시 부문으로 확대됐다.

올해 소설 부문 제11회 문지문학상을 받게 된 김멜라 작가는 2014년 자음과모음 신인문학상을 받으며 등단했고, 소설집 ‘적어도 두 번’을 펴냈다.

수상작인 단편 ‘나뭇잎이 마르고’는 장애를 가진 성소수자 여성을 그린 작품이다. 심사위원들은 “장애와 비장애 사이의 경계를 냉정하게 인식하고 있다”며 “퀴어·장애·여성이라는 요소의 울퉁불퉁한 접면에서 발생하는 여러 첨예한 질문들을 던지고 있다”고 평가했다.

김 작가는 “문지문학상의 손짓이 저에게 다가와 잘 서 있었다고 말한다. 그 웃음에 조금은 마음을 놓고 주변을 둘러본다”면서 “저의 앞과 뒤에서, 또 옆에서 함께 소설을 쓰며 서 계시는 작가분들께 감사의 마음을 전한다”고 소감을 밝혔다.
이미지 확대
백은선 시인.   문학과지성사 제공
백은선 시인.
문학과지성사 제공
시 부문 제1회 수상자가 된 백은선 시인은 2012년 문학과사회 신인문학상을 수상하며 작품 활동을 시작했다. 시집으로 ‘가능세계’, ‘아무도 기억하지 못하는 장면들로 만들어진 필름’, ‘도움받는 기분’ 등이 있다.

심사위원들은 수상작 ‘비밀과 질문 비밀과 질문’에 대해 “감정의 고열과 압력으로 말문이 막히는 지경에서 말의 길을 찾는 것이 그의 세계인 것 같다”고 호평했다.

백 시인은 시 형태의 소감을 통해 “이제껏 내 시를 응원해주신 모든 사람들에게 입술이 부르틀 때까지 피리를 불어주고 싶다. 항아리를 기울여 물을 부어주고 싶다”며 “그것이 내가 줄 수 있는 감사의 방식, 가장 분명한 사랑의 표정”이라고 말했다.

시상식은 12월 문학과사회 신인문학상 시상식과 함께 열릴 예정이다.
하종훈 기자 artg@seoul.co.kr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