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박목월 미발표 시 대거 발굴…“격랑의 시기, 시와 삶 환기 계기 되길”

박목월 미발표 시 대거 발굴…“격랑의 시기, 시와 삶 환기 계기 되길”

정서린 기자
정서린 기자
입력 2024-03-12 13:46
업데이트 2024-03-12 14:21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이미지 확대
고 박목월 시인의 장남 박동규 서울대 명예교수가 12일 오전 서울 중구 프레스센터에서 기자회견을 열어 아버지의 미발표 육필 시가 남긴 노트를 공개하고 있다. 홍윤기 기자
고 박목월 시인의 장남 박동규 서울대 명예교수가 12일 오전 서울 중구 프레스센터에서 기자회견을 열어 아버지의 미발표 육필 시가 남긴 노트를 공개하고 있다.
홍윤기 기자
“‘뭐하러 했노.’ 아버지가 돌아가신 지 45년이 됐는데 이제 와서 시를 공개한 걸 보면 이렇게 말씀하실 것 같아 겁도 납니다. 하지만 박목월이 해방 전후 암흑기부터 돌아가시기 직전까지 평생 시를 껴안고 살아간 1세대 시인임을 꼭 기억해줬으면 합니다.”

시인 정지용이 “북에 소월이 있다면 남에는 목월이 있다”고 상찬했던 박목월(1915~1978) 시인의 미발표 육필 시가 대거 발굴돼 공개됐다. 박목월유작품발간위원회는 12일 서울 중구 프레스센터에서 기자회견을 열어 시인의 장남인 박동규(85) 서울대 명예교수가 자택에 소장한 노트 62권과 경주 동리목월문학관에 보관된 18권의 노트에서 미발표 시가 발견됐다고 밝혔다.

1930년대 후반부터 1970년대까지 쓰여진 시는 모두 460여편으로, 완전한 시 형태를 갖춘 것이 318편이었다. 유작품발간위는 이 가운데 290편을 새로운 창작물로 확인하고 문학사적으로 의미가 있고 완성도가 높다고 판단한 166편을 추려 이날 공개했다.
이미지 확대
박목월유작품발간위원회가 12일 서울 중구 프레스센터에서 박목월 시인의 미발표 육필 시가 담긴 노트를 공개했다. 홍윤기 기자
박목월유작품발간위원회가 12일 서울 중구 프레스센터에서 박목월 시인의 미발표 육필 시가 담긴 노트를 공개했다.
홍윤기 기자
이번 시 발굴은 30년 전 대학원 시절 박 교수의 제자로 노트의 존재를 처음 듣고 오랜 궁금증을 품고 있던 우정권 단국대 교수의 제안이 출발점이 됐다. 우 교수는 “선생님 댁 방 한구석 보자기에 싸인 노트에 대한 의문이 영원한 숙제처럼 남아 있다가 지난해 4월 선생님께 보여달라고 청했다”며 “미발표작임을 알고 그해 8월 동료 학자들과 발간위원회를 꾸려 8개월간 기존 출간작과의 대조 및 주제별 분류·분석 작업을 거쳤다”고 소개했다.

1936년까지 거슬러 올라가는 미발표 시편들에 대해 우 교수는 “그간 많은 독자들이 그에 대해 자연과 풍경에 대한 목가적이고 서정적인 시를 써온 시인으로 알고 있지만 새로 발굴된 작품 속에는 그간 찾아보기 어려웠던 한국전쟁의 참혹함이나 해방의 기쁨 등 시대적 상황이나 도시민의 삶과 예리한 현실감각 등을 드러내고 있어 재평가가 이뤄져야 할 것으로 보인다”고 짚었다.
이미지 확대
박목월유작품발간위원회가 12일 오전 서울 중구 프레스센터에서 공개한 박목월 시인의 미발표 육필 시 가운데 하나 홍윤기 기자
박목월유작품발간위원회가 12일 오전 서울 중구 프레스센터에서 공개한 박목월 시인의 미발표 육필 시 가운데 하나
홍윤기 기자
한국전쟁의 참혹한 경험을 뒤로 하고 새 삶을 일궈가는 구두닦이 소년의 모습을 그린 ‘슈샨 보오이’가 대표적이다.

‘6.25때/엄마 아빠가 다 돌아가신/슈샨보이./길모퉁이의 구두를 닦는 슈샨·보이.//(중략) 이밤에 어디서 자나 슈샨·보이/비가 오는데, 잠자리나 마련 했을가. 슈샨·보이/누구가 학교를 보내주는 분이 없을가. 슈샨·보이/아아 눈이 동그랗게 아름다운 그애 슈샨 보이/학교 길에 내일도 만날가 그애 슈샨보이.’

유성호 한양대 교수는 어눌하게 살아가는 시인 자신과 용설란을 동일시하며 타향에 와 있는 고적함을 제시한 작품 ‘용설란’을 걸작으로 꼽기도 했다.

‘파도소리에 뜰이 흔들리는/그 뜰에 용설란//반쯤 달빛에 풀리고/반쯤 달빛에 빛나는 육중한 잎새//(중략) 어늘한 사투리로 가까스로 몸매를/빚어,//안개에 반쯤 풀리고/안개에 반쯤 살아나는 용설란.’

주제별로는 생활과 일상, 기독교 신앙, 가족과 어머니, 사랑, 제주와 경주, 동심, 시인으로서의 삶과 내면을 다룬 시들이 두루 포진해 있다. 동시도 60~70여편 포함돼 있다.

‘하얀 구름/동동/여름도 안 갔는데//그 콩꼬투리/맺었을까 하고/아기 산비둘기/엿보고 가고//상기/콩밭에는/파란 콩꽃/피었는데//그 콩꼬투리/맺었을까 하고/달밤에는 아기 꿩이/엿보고 가고’(콩꼬투리)

노트에는 시어 하나 바꾸는 데도 심혈을 기울였던 시인의 창작 노력과 여기서 추려 원고지에 옮긴 뒤 이를 시집으로 냈던 창작 과정이 고스란히 드러나 있어 ‘살아 있는 창작의 교본’이라는 평가도 나왔다.

방민호 서울대 교수는 “우리 사회가 격랑 속에 놓여 있는 가운데 목월의 시가 서정시의 정수를 이어왔음을 다시 확인하고 주변 존재를 바라보는 삶을 환기하는 계기가 됐으면 한다”는 바람을 전했다.

유작품발간위는 조만간 육필 노트를 일반에 공개할 예정이다. 전집과 평전 발간 계획도 세워놓고 있다. 위원회 측은 “박목월 시를 현대 미디어와 접목해 시문학의 대중화를 이루고 육필 시의 원본성이 훼손되지 않고 문화유산으로 후대에 널리 보존될 방법을 강구하겠다”고 했다.
이미지 확대
박목월유작품발간위원회가 12일 오전 서울 중구 프레스센터에서 박목월 시인의 미발표 육필 시 공개 기자회견을 열어 새로 발굴된 시인의 시편들에 대해 설명하고 있다. 왼쪽부터 전소영 홍익대 초빙교수, 방민호 서울대 교수, 우정권 단국대 교수, 박동규 서울대 명예교수, 유성호 한양대 교수, 박덕규 단국대 명예교수.  홍윤기 기자
박목월유작품발간위원회가 12일 오전 서울 중구 프레스센터에서 박목월 시인의 미발표 육필 시 공개 기자회견을 열어 새로 발굴된 시인의 시편들에 대해 설명하고 있다. 왼쪽부터 전소영 홍익대 초빙교수, 방민호 서울대 교수, 우정권 단국대 교수, 박동규 서울대 명예교수, 유성호 한양대 교수, 박덕규 단국대 명예교수.
홍윤기 기자
정서린 기자

많이 본 뉴스

내가 바라는 국무총리는?
차기 국무총리에 대한 국민 관심이 뜨겁습니다. 차기 국무총리는 어떤 인물이 돼야 한다고 생각하십니까.
대통령에게 쓴 소리 할 수 있는 인물
정치적 소통 능력이 뛰어난 인물
행정적으로 가장 유능한 인물
국가 혁신을 이끌 젊은 인물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