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리내성지 ‘김대건기념성당’ 본래 이름 되찾아

미리내성지 ‘김대건기념성당’ 본래 이름 되찾아

김성호 기자
입력 2020-11-24 17:36
업데이트 2020-11-25 01:27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시복 기념 경당’ 명칭변경 과정서 누락
김대건 신부 이름 넣어 역사 바로잡아

경기 안성 미리내성지에 자리한 ‘한국 순교자 79위 시복 기념 경당’ 명칭이 ‘성 김대건 안드레아 사제 기념성당’(김대건기념성당)으로 변경됐다. 천주교 수원교구(교구장 이용훈 주교)는 최근 교구 국장회의를 열어 명칭 변경을 결정한 뒤 전국에 공문을 발송해 이를 고지했다.

이번 명칭 변경은 과거 ‘복자 기념 성당’에서 ‘한국 순교자 79위 시복 기념 경당’으로 이름이 바뀌는 과정에서 누락된 김대건 성인의 중요성과 의미를 바로 세우고 미리내성지의 역사를 복원하기 위해 추진됐다.

수원교구는 공문을 통해 “본 경당이 지어질 당시 명칭은 ‘복자 기념 성당’이었으며, 여기에서 ‘복자’란 김대건 안드레아 사제를 지칭하는 것”이라며 “1984년 요한 바오로 2세 교황에 의해 김대건 사제가 ‘성인’으로 시성됨으로 인해 명칭을 변경해야 한다”며 명칭 변경의 근거를 제시했다. 수원교구는 특히 “설립 당시부터 일부 특정 신자들을 위한 경당이 아닌 모든 신자들에게 개방된 성당이었으며 ‘순교자의 모후’를 주보 성인으로 두고 봉헌식과 교회법적 성당 조건을 충족하는 축성식을 거행했으므로 성당으로 변경돼야 한다”고 강조했다.

김대건기념성당은 한국 최초의 사제인 김대건 신부의 순교 정신을 현양하기 위해 1928년 건립됐다. 전국 성지 중 가장 오랜 역사를 지닌 순례지로, 김 신부 유해 일부와 목관 일부분을 안치하고 있으며 묘소가 바로 앞에 있어 미리내성지 순례의 절정으로 꼽힌다. 한편 미리내성지는 ‘성 김대건 안드레아 성인 묘소가 있는 박해 시대 교우촌’이라는 명맥을 이어 오고 있다.

김성호 선임기자 kimus@seoul.co.kr

2020-11-25 22면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