태안군 화훼보존화 가공센터 완공 눈앞

태안군 화훼보존화 가공센터 완공 눈앞

입력 2013-12-17 00:00
업데이트 2013-12-17 10:42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보존화 등 화훼향토산업육성사업으로 지역 경쟁력 강화 본격화

장기 불황에 따라 화훼산업의 소비 패턴에도 변화가 생겼다. 1차 완제 가공 상품에 대한 수요가 증가한 것. 그 중 ‘보존화’의 수요가 세계적으로 상승하고 있는 추세다. 보존화는 1991년 프랑스에서 처음 만들어진 후, 유럽과 미국에 소개되었으며 현재에는 일본의 보존화 시장이 전 세계의 60%를 차지하고 있을 정도로 일본에서 인기다.

‘보존화’란 프리저브드 플라워(Preserved Flower)로 불리며 생화가 가장 아름답게 폈을 때 꽃을 따서 특수 보존용액을 사용해 탈수탈색, 착색보존, 건조의 단계를 거쳐 생화의 아름다움을 그대로 장기간 보존할 수 있게 만든 꽃이다. 관리만 잘 해주면 최소 3년 이상 생화 상태 그대로를 계속 감상할 수 있다.

국내에는 2000년도에 처음으로 도입되어 매년 보존화 수요가 증가하고 있다. 하지만 국내 소비의 90% 이상을 일본을 통해 수입하고 있어 국내 보존화 개발 사업이 필요한 것.

이에 태안군은 태안의 천혜의 입지와 여건을 활용한 향토자원을 상품화하기 위해 ‘보존화’ 사업에 뛰어들었다. 태안은 화훼 1차와 3차 자원이 풍부하고, 농산물 관련 풍부한 인적, 물적 자원 연계를 활용하기 쉬운 지역이다.

태안군 관계자는 “보존화 시장을 개척을 통해 시장 트렌드, 소비 패턴에 맞는 맞춤형 산지 소포장 상품의 생산, 공급 기반을 마련하고 있다”면서 “지리적 자원이 태안군 해수욕장과 연계한 복합 화훼축제 개발도 가능하다”고 전했다.

태안군은 지난 2012년부터 화훼향토산업육성 사업을 추진하여 화훼산업의 고도화를 위해 노력해왔다. 지난 7월 11일에 착공을 시작한 화훼보존화 가공센터가 12월 중 완공 예정이다. 화훼보존화 가공센터는 약 895평으로 앞으로 매년 보존화 약 30만 송이, 백합원료 5톤을 생산할 계획이다.

온라인뉴스부 iseoul@seoul.co.kr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