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단독] “알고리즘 좇는 ‘선택의 외주화’… AI에게 삶 뺏기는 꼴” [AI 블랙홀 시대-인간다움을 묻다]

[단독] “알고리즘 좇는 ‘선택의 외주화’… AI에게 삶 뺏기는 꼴” [AI 블랙홀 시대-인간다움을 묻다]

김헌주 기자
김헌주 기자
입력 2024-01-03 02:09
업데이트 2024-01-03 02:09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인간다움’ 저자 김기현 교수

순간의 선택들이 모여 날 만들어
편리함만 추구하는 AI 알고리즘
우리의 삶을 만족시킬 수 없어


이미지 확대
김기현 서울대 철학과 교수
김기현 서울대 철학과 교수
‘10년 전 나와 지금의 나는 같은 사람일까.’

한국 인문학계를 대표하는 학자 김기현(65) 서울대 철학과 교수는 인공지능(AI) 시대 인간다움의 중요성을 강조하면서 이 같은 질문을 던졌다. 10년 전의 모습과 다른 모습이라면 왜 그런 것인가. 김 교수는 지난달 28일 서울신문과의 인터뷰에서 “순간순간의 선택들이 모여 지금의 나를 만들었다”면서 “그러나 AI 시대에 접어들면서 선택을 내가 아닌 AI에게 의존하고 있다”고 우려했다. 김 교수가 ‘인간다움’이란 저서에서 ‘공감·이성·자유’를 강조한 것도 현대사회가 어떤 도전에 직면해 있는지를 직시하자는 취지에서다.

김 교수는 우선 ‘선택의 외주화’를 경계해야 한다고 했다. 그는 “온라인동영상서비스(OTT)에 올라온 콘텐츠가 워낙 방대해 AI 시스템의 도움을 받는 건 불가피한 측면이 있다”면서도 “편리함만을 추구한다면 나의 선택은 점점 외주화된다”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나의 인생은 나의 것인가, 알고리즘의 것인가’라고 반문한 그는 “과도한 편의주의로는 우리가 진정으로 원하는 삶을 만족시킬 수 없다”며 현실 인식이 중요하다고 했다.

김 교수는 인간다움을 이루는 요소 중 하나인 공감이 관계의 비대면화로 위협받는 것도 우려되는 부분이라고 했다. 그렇다고 해서 ‘디스토피아’(암울한 미래상)를 얘기하려는 건 아니라는 게 김 교수의 설명이다. AI 시대 빛과 그림자가 있을 수 있기 때문에 우리 사회가 담론을 시작해 보자는 것이다.

김 교수가 주목한 건 관계적인 측면에서의 인간다움이다. 그는 “상대방의 즐거움과 고통에 공감하고 타인의 삶을 존중하는 것만으로도 인간다울 수 있다”며 “인간의 행복 자체에 공존과 상호 존중 가치가 녹아들어 있다”고 말했다.

김 교수는 새로운 세계를 만들어 가는 건 인간밖에 할 수 없다고 강조했다. 그는 “AI의 지능이 탁월하더라도 슬픔, 외로움, 절망감, 향수와 같은 의식을 가질 수는 없다”면서 “감정·의식이 없는 존재를 과도하게 발전시키지 않고 인간의 도구로 잘 활용하는 공동체 규범이 필요하다”고 역설했다.
김헌주 기자
2024-01-03 5면
많이 본 뉴스
공무원 인기 시들해진 까닭은? 
한때 ‘신의 직장’이라는 말까지 나왔던 공무원의 인기가 식어가고 있습니다. 올해 9급 공채 경쟁률은 21.8대1로 3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공무원 인기가 하락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낮은 임금
경직된 조직 문화
민원인 횡포
높은 업무 강도
미흡한 성과 보상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