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취중생]“이것은 능력인가 편법인가”…챗GPT에 혼란스러운 대학가

[취중생]“이것은 능력인가 편법인가”…챗GPT에 혼란스러운 대학가

김예슬 기자
김예슬 기자
입력 2023-06-17 11:00
업데이트 2023-06-17 11:0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대학가 ‘챗GPT’ 활용 의견 엇갈려
교수 “공정 저해, 챗GPT 규제 필요”
학생 “효율적 사용, 학습 능률 올라”
AI 활용한 ‘문제해결형 인재’ 키워
글로벌 ‘디지털 경쟁력’ 갖출 필요


1994년 성수대교가 무너졌을 때 가장 먼저 현장에 도착한 기자가 있습니다. 삼풍백화점이 무너졌을 때도, 세월호 참사 때도 그랬습니다. 사회부 사건팀 기자들입니다. 시대도 세대도 바뀌었지만, 취재수첩에 묻은 꼬깃한 손때는 그대롭니다. 기사에 실리지 않은 취재수첩 뒷장을 공개합니다.
챗GPT와 개발사 오픈AI의 로고. 서울신문 DB
챗GPT와 개발사 오픈AI의 로고. 서울신문 DB
대화형 인공지능(AI) ‘챗GPT’가 국내 대학가를 휩쓴 지 어느덧 한 학기가 지나고 있지만 혼란은 여전합니다. 챗GPT를 잘 활용하는 것이 능력인지, 편법인지를 두고도 의견이 갈립니다. 양날의 검처럼 인식되는 챗GPT는 대학가를 어떻게 변화시켜 나갈까요.

대체로 교수들은 챗GPT 사용을 규제해야 한다는 입장인 것 같습니다. 아무래도 수업 중에 또는 과제 수행 중에 챗GPT의 도움을 받도록 한다면 열심히 공부한 학생과 그렇지 않은 학생을 구분하는 게 쉽지만은 않을 것입니다. 이런 이유로 어떤 교수는 챗GPT 사용을 아예 금지하기도 합니다. 관련 서약을 통해 제한적으로 사용하도록 하는 경우도 있다고 합니다.
이미지 확대
기말고사 앞두고 ‘챗GPT’ 경계령
“0점 주겠다”, “오프라인 시험 전환”

경희대 문과대학의 A교수는 기말고사를 앞두고 학생들에게 “챗GPT를 통해 알 수 있을 법한 답안을 제출하면 0점을 주겠다”고 밝혔습니다. 학생들이 그 이유를 묻자 A교수는 “수업을 제대로 안 들은 학생이 중간고사에서 제일 먼저 답을 쓰고 나갔다. 의아해서 챗GPT에 내가 낸 문제를 입력했더니 학생의 답변 그대로더라. 이건 공정하지 않다”고 답했다고 합니다.

챗GPT 사용이 의심된다며 오프라인으로 시험을 보는 경우도 있습니다. 서강대 경제대학의 B교수는 “온라인으로 진행한 중간고사에서 수강생 32명 중 과반이 만점을 받았다”면서 “기말고사는 전자기기 없이 오프라인으로 시험을 보겠다”고 학생들에게 공지했습니다. 이 수업을 듣는 최지우(22·가명)씨는 “학생 다수가 사진 파일에서 글자가 추출되는 애플리케이션을 써서 해당 문제를 텍스트로 추출한 뒤, 텍스트 내에 있는 논리로만 답을 도출하는 챗GPT 유료 버전을 사용한 것 같다”고 추정했습니다.

박주호 한양대 교육학과 교수는 지식 창출이라는 고차원의 학습이 이뤄지는 대학에서 챗GPT 사용이 적절하지 않다고 말합니다. 박 교수는 “챗GPT는 기존의 지식을 효율적으로 정리해서 이야기해준다는 점에서 일상 생활에서 유용할 수 있다”면서도 “창의성을 발휘해 자기만의 논리를 풀어가거나, 논쟁을 바탕으로 주장을 만들어 나가는 고등 교육기관에서 사용하기에는 한계가 있다”고 말했습니다.
이미지 확대
챗GPT 논란 정리. 서울신문DB
챗GPT 논란 정리. 서울신문DB
학생들 “의심만으로 불이익 안 돼”
일부 대학, 챗GPT 가이드라인 제정

학생들 생각은 조금 다릅니다. “챗GPT를 효율적으로 활용한다면 오히려 학습 능률을 올릴 수 있지 않느냐”고 반문합니다. 챗GPT를 잘 다룰 수 있는 것도 능력이란 취지입니다. 이화여대 융합콘텐츠학과에 재학 중인 김민아(23·가명)씨는 “챗GPT를 그대로 베껴서는 안 되겠지만 코딩 수업처럼 챗GPT와 내 작업물을 비교해볼 수 있는 경우도 꽤 있다”고 말했습니다.

챗GPT와 관련된 서약서 등을 쓰게 하는 수업도 있지만 학생들은 “챗GPT를 활용했다는 객관적 증거 없이 의심만으로 불이익을 주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며 의문을 제기합니다.

답변을 100% 그대로 제출하는 게 아닌 이상, 문제될 게 없다는 반응도 있습니다. 서울시립대에 재학 중인 김현진(26)씨는 “챗GPT 가이드라인을 만든 대학도 꽤 있는 걸로 안다. 그러면서 무조건 챗GPT를 쓰지 말라고 하는 건 모순적이라고 생각한다”고 말했습니다.

실제 국민대·고려대·이화여대·성균관대 등은 챗GPT 윤리강령·가이드라인을 제정했습니다. 국민대는 과제를 제출할 때 챗GPT 등 AI를 활용했는지 여부를 밝히도록 했습니다.

미래의 교육이 챗GPT 등 AI를 융합적으로 활용하는 문제 해결형 인재를 길러내는 데 초점을 맞춰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배상훈(교육과미래연구소 소장) 성균관대 교육학과 교수는 “무조건 교육 현장에서 챗GPT 사용을 규제하는 네거티브 방식은 지양해야 한다”면서 “글로벌 수준에서의 디지털 경쟁력을 키울 필요가 있다”고 말했습니다. “AI 이전 교육의 틀을 바꾸고 평가를 바꾸는 방식으로 가는 게 바람직하다”는 배 교수의 주장은 곱씹어볼 필요가 있습니다.
김예슬 기자

많이 본 뉴스

‘금융투자소득세’ 당신의 생각은?
금융투자소득세는 주식, 채권, 파생상품 등의 투자로 5000만원 이상의 이익을 실현했을 때 초과분에 한해 20%의 금투세와 2%의 지방소득세를, 3억원 이상은 초과분의 25% 금투세와 2.5%의 지방소득세를 내는 것이 골자입니다. 내년 시행을 앞두고 제도 도입과 유예, 폐지를 주장하는 목소리가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제도를 시행해야 한다
일정 기간 유예해야 한다
제도를 폐지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