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눔은 우리 사회를 품격 있게 하고 서로 함께 존경받는 시민으로 만들어 베푸는게 아닌 저 스스로를 위한 일”
“나눔과 공유 문화는 우리 사회를 품격 있는 사회로, 우리 스스로를 존경받는 시민으로 만드는 지름길이죠.”일러스트레이터 겸 작가 ‘밥장’이 재능 나눔의 중요성을 얘기하며 동작을 취하고 있다.
‘초록우산 어린이재단’ 제공
‘초록우산 어린이재단’ 제공
서울 은평구의 한 아파트에 살고 있는 그는 지난해 동네 아이들의 얼굴을 소재로 아파트 벽에 그림을 그렸다. 또 재료 구입부터 디자인, 작업에 이르기까지 공간을 스스로 꾸밀 수 있게 도와주는 프로젝트를 시작했다. 올해는 이웃인 재즈 가수 말로, 목공예가 김영일, 래퍼 UMC 등과 힘을 모아 재능 나눔 강좌를 열었다.
국내외를 가리지 않고 지금까지 참여한 재능 나눔 프로젝트가 무려 130여개다. 그런데 여유가 있거나 착해서 하는 것은 아니라며 멋쩍은 얼굴을 했다. 어찌 보면 베푸는 게 아니라 스스로를 위한 일이라고도 했다. “재능 나눔은 제가 하고 있는 일을 더욱 즐겁게, 오래 할 수 있게 만드는 동력이에요. 그림에 대한 일반적인 관심은 미술관에 있잖아요. 작가 대부분은 자기 작품을 보여줄 기회가 적어요. 하지만 저의 재능 나눔으로 사람들이 생활 속에서 그림을 쉽게 만나고 관심을 갖게 되고, 또 배우거나 직접 해 보게 될 수도 있지 않겠어요? 장기적으로 보면 제가 일할 저변이 넓어지는 셈이죠. 그림으로 먹고사는 입장에서 나눔은 당연히 해야 할 일인 거죠.”
나눔과 공유가 더욱 풍성해지려면 인식이 바뀌어 나눔, 공유가 악용되는 사례가 없어져야 하고 제도적으로도 뒷받침돼야 한다고 강조했다. 재능 나눔을 자원봉사와 동일시하거나 ‘좋은 취지니까 공짜로 참여해 주세요’ 하는 식이면 곤란하다는 것이다. 그는 그림으로 재능 나눔을 했다면 적어도 해당 작품의 시장 가치에 버금가는 기부금 영수증이라도 발급해 주면서 정당하게 평가하는 풍토가 있어야 한다고 이야기했다.
밥장은 “재능의 합당한 가치를 인정받는 분위기를 통해 전문직 종사자가 보다 많이 재능 나눔에 뛰어들면 사회적인 효과는 어마어마할 것”이라며 눈을 빛냈다.
홍지민 기자 icarus@seoul.co.kr
2013-10-05 14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