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형 창조경제 성공으로 가는 길] 고질적인 야근 문화부터 없애자…창업 아이디어에 실업수당 주자

[한국형 창조경제 성공으로 가는 길] 고질적인 야근 문화부터 없애자…창업 아이디어에 실업수당 주자

입력 2013-07-18 00:00
업데이트 2013-07-18 00:02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한국에 ‘창업DNA’ 심으려면

“낯선 사람과 함께 여행을 할 수 있도록 주선하는 사업 아이디어가 떠오른 뒤 이를 구체화하는 데 3년이 걸렸어요. 퇴근 뒤 저녁 시간마다 친구(공동창업자)와 구상을 다듬으며 열정을 불태웠지만 사업 성공 가능성이 없어보여 중도에 포기도 여러 번 했어요. 그러다 새 아이디어가 떠올라 계획을 고쳐가며 다시 사업을 시작하는 과정을 여러 번 반복하며 여기까지 왔어요”

이스라엘 최대도시 텔아비브에서 만난 온라인 여행정보 사이트 ‘라우트 퍼펙트’의 최고경영자(CEO) 보아즈 란츠만(43)은 자신의 창업 과정을 이렇게 소개했다. 아이디어의 상용화 여부를 끊임없이 고민하며 사업 추진과 포기를 반복하는 ‘창조적 방황기’를 거쳤다는 설명이다.

실제로 취재 과정에서 만난 스타트업(신생 벤처기업) CEO들 가운데 아이디어를 단박에 제품 개발로 연결시켜 창업한 사례는 보지 못했다. 이스라엘이나 스웨덴처럼 창업이 쉬운 나라에서도 회사를 세운다는 것은 인생을 건 모험이기 때문이다. 창업자 대부분은 1~3년 정도 방황기를 거치며 차근차근 사업에 도전했다.

대학생 창업이 활발하다는 이스라엘에서도 재학생이 바로 창업에 뛰어드는 사례는 많지 않았다.

상당수는 창업 아이디어가 있어도 대학을 졸업하고 직장에 다니며 창업 자금과 비즈니스 노하우를 모으는 과정을 거쳐 사업에 나섰다. 어느 나라에서건 벤처 창업 시 어느 정도의 돈과 직장 경험을 축적할 시간은 필요해 보였다.

우리 정부가 창조경제 모범 국가로 보는 나라들은 공통적으로 국민들에게 충분한 시간을 주고 있었다. 미국(실리콘밸리)과 싱가포르, 이스라엘 등은 모두가 오후 4~5시 정도가 되면 자신의 일과를 끝내고 퇴근하는 것을 당연스레 여긴다. 창업을 준비하는 이들은 저녁 시간을 십분 활용해 아이디어를 다듬는다. 스웨덴 등 북유럽 국가들은 창업을 위한 아이디어 구상도 정당한 실업수당의 청구 사유가 된다. 창업을 원하는 사람들은 1~2년 동안 돈까지 받으며 아이디어를 구체화할 수 있다.

국내 유명 애플리케이션(응용프로그램·앱) 제작사인 ‘포도트리’의 이진수 대표는 기자간담회에서 “앱 개발자들이 격무에 시달리다 보니 새로운 사업 아이디어를 구상하기 위해 함께 만날 수 있는 시간이 매주 토요일 오전밖에 없었다”고 토로했다. 우리 사회에 만연한 야근 문화만 없애도 ‘창업 DNA’를 살리는 데 좋은 환경이 마련될 것이라는 주장이 힘을 얻는 것도 이런 이유에서다.

류지영 기자 superryu@seoul.co.kr

2013-07-18 2면
많이 본 뉴스
공무원 인기 시들해진 까닭은? 
한때 ‘신의 직장’이라는 말까지 나왔던 공무원의 인기가 식어가고 있습니다. 올해 9급 공채 경쟁률은 21.8대1로 3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공무원 인기가 하락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낮은 임금
경직된 조직 문화
민원인 횡포
높은 업무 강도
미흡한 성과 보상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