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질문 세례’ 연구원 “깊이 있는 분석” 등록인원 넘겨 일부 참석자 입석 열기

‘질문 세례’ 연구원 “깊이 있는 분석” 등록인원 넘겨 일부 참석자 입석 열기

이혜리 기자
입력 2017-10-25 22:44
업데이트 2017-10-25 23:33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세션2:미래 교육-협력하는 괴짜 키우기]

‘4차 산업혁명 시대 일자리와 교육’을 주제로 25일 열린 ‘2017 서울미래컨퍼런스’는 인공지능 시대 최대 화두인 일자리 감소 대안을 모색하기 위한 참석자들의 열기로 가득 찼다.

이날 이른 아침부터 강연을 듣기 위한 참석자들이 몰리며 행사가 열린 서울 종로구 포시즌스호텔은 발 디딜 틈 없이 북적였다. 참석자 수가 등록 인원을 훌쩍 넘겨 일부 참석자는 강연장 뒤에 서서 행사를 지켜보기도 했다. 정치권, 학계, 재계 주요 인사들은 “4차 산업혁명 시대에 우리가 나아갈 방향에 대한 깊이 있는 분석이 이뤄졌다”고 한목소리로 평가했다.

특히 학계의 관심이 뜨거웠다. 주요 대학의 교수와 대학생, 연구원들이 80여명 가까이 참석해 인공지능 시대의 인재 양성과 대학 교육의 방향에 대해 의견을 교환했다. 전호환 부산대 총장은 “2017 서울미래컨퍼런스가 4차 산업혁명 시대 일자리와 교육 문제를 더욱 활발하게 연구하는 소중한 발판이 될 것”이라고 평가했다.

대학생들과 연구원들은 석학들의 기조연설이 진행되는 동안 메모를 하고 질문을 던지는 등 열성적인 모습을 보였다. 특히 미래 일자리에 대한 강연에 귀를 기울이는 모습이었다. 숭실대에 재학 중인 지경호(24)씨는 “학교 홈페이지에서 서울미래컨퍼런스가 열린다는 것을 보고 직업 선택에 도움이 될 것 같아 참여하기로 했다”고 말했다. 서울대 국제대학원에 재학 중인 정지혜(31)씨는 “강연을 듣고 4차 산업혁명 시대의 직업 경향성을 파악할 수 있었다. 김강현(37) 파이터치연구원은 “석학들의 강연이 지금 하고 있는 4차 산업혁명 연구에 큰 도움이 됐다”고 평가했다.

이혜리 기자 hyerily@seoul.co.kr

2017-10-26 4면
많이 본 뉴스
공무원 인기 시들해진 까닭은? 
한때 ‘신의 직장’이라는 말까지 나왔던 공무원의 인기가 식어가고 있습니다. 올해 9급 공채 경쟁률은 21.8대1로 3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공무원 인기가 하락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낮은 임금
경직된 조직 문화
민원인 횡포
높은 업무 강도
미흡한 성과 보상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