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교 번호로 전화하면 안 받아”...‘괴물’ 부모만큼 무서운 ‘방임형’ 부모 [마음 성적표 F-지금 당장 아이를 구하라]

“학교 번호로 전화하면 안 받아”...‘괴물’ 부모만큼 무서운 ‘방임형’ 부모 [마음 성적표 F-지금 당장 아이를 구하라]

한지은 기자
한지은 기자
입력 2024-02-28 00:44
업데이트 2024-03-07 15:49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2> 교사가 말하지 못한 비밀

교사 지치게 만드는 ‘방임형 부모’
“어머님 계속 연락 안 돼서 답답”
ADHD 병원 정밀검사 권유에
받아들이는 부모 절반도 안 돼


이미지 확대
지난해 12월 서울의 한 초등학교 교실에서 만난 이성재 교사.
지난해 12월 서울의 한 초등학교 교실에서 만난 이성재 교사.
“아이가 밉진 않아요. 근데 부모님이 아이 문제를 회피하거나 방임할 때 우울감이 크게 오죠. 내가 지금 뭐하고 있는 건가 생각도 들고…”

서울의 한 초등학교 5학년 담임 교사인 이성재(39·가명)씨는 고학년을 맡아도 매년 학기 초엔 아이들 연필 잡는 법부터 다시 가르칠 정도로 ‘열정 교사’다. 그런 이씨에게 교직생활 5년차인 2018년쯤 수업 시간에 유난히 집중하지 못하는 아이들이 눈에 밟히기 시작했다. 칠판을 보고 있지만 딴생각하듯 초점 잃은 눈, 준비해 온 물품을 쉴 새 없이 만지는 손, 정리라곤 찾아볼 수 없는 책상 서랍과 유독 낮은 학업성적이 공통점이었다.

처음엔 아이들을 교육시킬 수 있다고 믿었다. 학습 결손이 심한 아이들을 위해서는 주말에도 시간을 내어 보충 수업을 했다. 하지만 거기까지였다. 이씨는 “학교에서 실시한 정밀주의집중력검사(ATA) 결과가 나와 병원에 가서 주의력결핍 과잉행동장애(ADHD)에 대해 정밀검사를 받아 보라고 했는데 학생 어머니가 폰을 끄고 일을 하는지 계속 연락이 안 돼 답답하다”고 털어놨다. 그는 “아이 9명의 학부모에게 검사를 권했는데, 받아 들이는 사람이 절반도 안 된다”고 덧붙였다. 수도 없이 민원을 제기하는 부모 유형인 몬스터페어런츠 못지않게 ‘방임형 부모’ 역시 교사의 마음을 지치게 하는 것이다.

학업·태도·사회성 모두 성장하지 못한 채 제자리걸음인 아이들을 보는 게 괴롭다고 이씨는 말했다. 방과 후에 저학년 수학 시험지를 만들어 가르치고 풀게 해도 도통 개념을 이해하지 못하는 학생들이 있을 때 “내가 왜 이렇게 일을 만들어서 하는지” 허탈감이 밀려왔다. 아이들이 지능지수가 낮은 경계선 지능이나 ADHD를 앓고 있을 가능성이 있다고 알게 됐을 때엔 드디어 원인을 찾은 것 같아 시원함마저 느꼈다. 이씨는 “그러나 곧 아이들이 개선되려면 제 힘으로는 역부족이고 상담가와 전문의 개입이 필요하다는 걸 깨닫게 됐다”고 했다.
이미지 확대


글·사진 한지은 기자
2024-02-28 8면
많이 본 뉴스
공무원 인기 시들해진 까닭은? 
한때 ‘신의 직장’이라는 말까지 나왔던 공무원의 인기가 식어가고 있습니다. 올해 9급 공채 경쟁률은 21.8대1로 3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공무원 인기가 하락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낮은 임금
경직된 조직 문화
민원인 횡포
높은 업무 강도
미흡한 성과 보상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