취향 쪼갠 전문점, 개성 살린 아지트, 사람 모은 사랑방

취향 쪼갠 전문점, 개성 살린 아지트, 사람 모은 사랑방

심현희 기자
입력 2021-05-31 20:42
수정 2021-06-01 03:15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살아남은 작은 서점들의 생존비법

이미지 확대
건축디자인 도서를 전문으로 판매하는 서울 마포구의 안도북스.
건축디자인 도서를 전문으로 판매하는 서울 마포구의 안도북스.
“‘취향의 세분화, 주인의 개성, 콘텐츠 모임 공간’ 등의 요건을 갖춘다면 오프라인 서점은 여전히 경쟁력이 있습니다.”

서점은 사라지고 있다기보다는 변화하고 있다. 과거 서점의 역할이 다양한 종류의 책을 판매하는 데 그쳤다면, 현재 살아남은 서점들은 ‘취향 공간’으로서의 역할이 더 컸다. 서점 주인이 큐레이션한 특정 주제의 책을 매개로 사람들이 모이고, 취향이 비슷한 손님들이 서점에서 만나 각종 모임을 형성하는 ‘사랑방’ 형태를 띠었다.

얼마나 많은 책이 있느냐보다는 어떤 책을 판매하느냐가 더 중요하다. 서울 마포구의 건축디자인 도서만을 판매하는 ‘안도북스’는 건축을 전공하고 인테리어 디자이너로 일했던 임화경 대표의 전문성과 취향을 살린 공간이다. 임 대표는 “글을 쓰고, 읽는 것을 좋아해 5년 전 막연하게 서점을 오픈했지만, 운영상의 한계를 느껴 2년 전부터 ‘건축디자인 서점’이라는 콘셉트로 매장을 리뉴얼했다”면서 “건축디자인으로 특화시킨 이후 SNS로 입소문이 나 손님이 늘고 수익도 나아졌다”고 말했다. 아직 관련 서적을 많이 구비해 두진 못했지만, 건축디자인에 관심이 있는 사람들은 이 공간을 찾아와 책을 둘러보는 시간 자체에 의미를 둔다. 임 대표는 “작은 서점들이 살아남기 위해선 전문성을 갖추는 등 우리 서점에 꼭 와야 할 이유를 만들어야 한다”고 했다.
이미지 확대
서울 관악구에서 책과 술을 판매하는 ‘책 바(bar)’ 살롱드북.
서울 관악구에서 책과 술을 판매하는 ‘책 바(bar)’ 살롱드북.
‘책’을 매개로 오프라인 모임을 할 수 있는 ‘판’도 깔아야 한다. ‘살롱드북’은 와인, 위스키 등의 술과 책을 판매하는 일종의 ‘책 바(bar)’로, 책과 술을 좋아하는 인근 2030세대 및 1인 가구의 아지트다. 강명지 대표는 “책과 술 판매 비율이 5대5로 균형을 맞추고 있어 안정적인 매출을 올리고 있다”고 말했다. 단골손님들은 매장에서 주기적으로 열리는 독서, 글쓰기, 영화 보기 모임 등에 참여해 커뮤니티를 형성한다. 살롱드북의 단골손님인 신모(35)씨는 “최근엔 소설, 영화 등의 작품에 나오는 술을 함께 마시며 이야기를 나누는 모임에 참여했는데 모임 참여자들이 새로운 콘텐츠를 생산한다는 느낌을 받아 뿌듯했다”고 전했다.

서울 노원구의 카페 겸 서점 ‘지구불시착’도 독립 출판물을 좋아하는 인근 주민들의 각종 모임 거점 역할을 하고 있다. 김택수 대표는 “어느 책방이건 책만 팔아서 수익을 내겠다는 사람은 없다”면서 “책을 통해 취향이 맞는 사람을 만날 수 있는 곳이 돼야 한다”고 강조했다.

심현희 기자 macduck@seoul.co.kr

2021-06-01 14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5
AI의 생성이미지는 창작인가 모방인가
오픈AI가 최근 출시한 ‘챗GPT-4o 이미지 제네레이션’ 모델이 폭발적인 인기를 끌면서 인공지능(AI)이 생성한 이미지의 저작권 침해 문제가 도마 위에 올랐다. 해당 모델은 특정 애니메이션 ‘화풍’을 자유롭게 적용한 결과물을 도출해내는 것이 큰 특징으로, 콘텐츠 원작자의 저작권을 어느 범위까지 보호해야 하는지에 대한 논쟁을 불러일으켰다.
1. AI가 학습을 통해 생성한 창작물이다
2. 저작권 침해 소지가 다분한 모방물이다.
1 / 5
1 / 3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