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다표범은 사냥할 때 ‘이것’을 사용한다고? [달콤한 사이언스]

바다표범은 사냥할 때 ‘이것’을 사용한다고? [달콤한 사이언스]

유용하 기자
유용하 기자
입력 2023-08-21 13:45
업데이트 2023-08-21 14:48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이미지 확대
담수 환경에서 움직이는 바다표범과의 조상 ‘포타모테리움 발레토니’의 가상도  커뮤니케이션즈 바이올로지 제공
담수 환경에서 움직이는 바다표범과의 조상 ‘포타모테리움 발레토니’의 가상도

커뮤니케이션즈 바이올로지 제공
동물원이나 아쿠아리움에 가면 사람들이 관심을 갖고 보는 동물 중 하나는 바다사자, 바다표범, 물개 같은 해양 동물이다. 이들은 앞발을 수영할 때 지느러미처럼 쓰기도 한다. 또 재미있는 것은 수염을 이용해 주변 환경을 인식하고 먹잇감을 사냥한다는 것이다. 그런데 바다표범과는 언제부터 수염을 이용했을까.

그리스 국립 아테네대 지리·지리환경학부, 스웨덴 국립 자연사박물관, 네덜란드 자연 생명 다양성 연구센터, 라이덴대 생물학연구소 공동 연구팀은 현대 바다표범의 조상들은 수염을 이용해 먹잇감을 사냥하고 수중 환경을 탐험했다고 21일 밝혔다. 이번 연구 결과는 생명과학 분야 국제학술지 ‘커뮤니케이션즈 바이올로지’ 8월 18일자에 실렸다.

연구팀은 족제비, 곰, 물개 친척 중 멸종한 6종을 포함한 31종의 육식 포유류의 뇌 구조를 비교해 바다표범이 수염을 어떻게 이용하도록 진화했는지 조사했다. 연구팀은 특히 이전 연구에서 바다표범의 수염 신호를 처리하는 데 관여하는 것으로 밝혀진 뇌의 ‘관상융선’(coronal gyrus) 크기와 구조에 주목했다.

현대 바다표범과 동물은 바다에 서식하며 수염을 사용해 물속 진동을 감지해 먹이를 찾는다. 그렇지만 바다표범과 동물의 조상은 대부분 육지나 민물 환경에서 살았던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일부 종은 앞다리를 이용해 주변을 탐색해 바다표범과 동물들이 언제부터 수염을 사용해 주변 환경을 탐지했는지 명확히 밝혀지지 않았다.

연구팀은 수달과 비슷한 외모를 갖고 2300만년 전 살았던 바다표범의 조상인 ‘포타모테리움 발레토니’(Potamotherium valletoni)는 앞다리를 이용해 먹잇감을 찾았던 고대 육상 포유류인 아시아 작은 발톱 수달보다 관상융선 크기가 더 크지만 수염을 사용해 주변을 탐색하는 유라시아 수달 같은 반수생(半水生) 포유류나 다른 고대 바다표범과 동물과 비슷한 크기의 관상융선을 갖고 있다는 사실을 확인했다. 이 연구 결과는 포타모테리움이 먹이를 찾을 때 수염과 앞다리를 함께 사용했을 가능성이 있음을 보여주는 것이라고 연구팀은 설명했다.

연구를 이끈 알렉산드라 반 데르 기어 네덜란드 라이덴대 박사는 “이번 연구 결과는 고대에 주로 육지에서 살았던 물개가 어떻게 수중 생활을 하게 됐는지에 대한 힌트를 알려주는 것”이라고 말했다.
유용하 기자
많이 본 뉴스
‘민생회복지원금 25만원’ 당신의 생각은?
더불어민주당은 22대 국회에서 전 국민에게 1인당 25만원의 지역화폐를 지급해 내수 경기를 끌어올리는 ‘민생회복지원금법’을 발의하겠다고 밝혔습니다. 민주당은 빠른 경기 부양을 위해 특별법에 구체적 지원 방법을 담아 지원금을 즉각 집행하겠다는 입장입니다. 반면 국민의힘과 정부는 행정부의 예산편성권을 침해하는 ‘위헌’이라고 맞서는 상황입니다. 또 지원금이 물가 상승과 재정 적자를 심화시킬 수 있다고 우려합니다. 지원금 지급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찬성
반대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