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래유산 톡톡] 석파랑 건물들 통해 보는 서울…옛것과 새것이 공존하는 도시

[미래유산 톡톡] 석파랑 건물들 통해 보는 서울…옛것과 새것이 공존하는 도시

입력 2019-07-24 18:02
업데이트 2019-07-25 03:37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이미지 확대
정순희 ‘표석을 따라 경성을 거닐다’ 공저자
정순희 ‘표석을 따라 경성을 거닐다’ 공저자
한정식집으로 쓰이는 석파랑은 서예가 소전 손재형(1903~1981)이 말년에 작품 활동을 했던 장소로 그 가치를 인정받아 서울미래유산으로 지정됐다. 소전은 해방 이후 한국 서예계를 이끌었으며 일본식 표현이었던 서도를 서예라 처음 명명한 인물이다. 1903년 예술의 고장인 전남 진도의 부유한 가정에서 태어난 소전은 20대에 조선미술전람회를 거쳐 서예계에 등단했다. 해방 이후 대한민국미술전람회(일명 국전)가 시작되자 서예 부문에서 주도적 역할을 했다. 국전 서예 부문의 조직과 운영, 심사위원, 운영위원 등을 줄곧 맡으면서 많은 제자를 길러냈다.

소전 손재형은 추사 김정희를 존경하며 늘 그처럼 되길 원했다. 조선시대의 좋은 서화 자료를 많이 소장했던 소전의 수집품 중에 가장 유명한 것도 김정희에 관한 것이었다. 그가 추사 김정희의 명작 ‘세한도’를 석 달간의 피눈물 나는 노력으로 일본에서 되찾아온 일은 전설처럼 전해진다.

소전은 문화재 수집가로도 유명하다. 벼루와 연적 같은 문방구부터 향토 자료와 문헌 등 우리 역사에 귀중한 자료를 수집했으며 사라져 가는 한옥들을 사서 오랜 기간 옮기고 자재를 보충하면서 지은 곳이 바로 석파랑이다. 흥선대원군의 별장과 순종 황후인 순정효황후 윤씨의 옥인동 생가를 옮긴 후 30여년에 걸쳐 덕수궁 돌담과 운현궁, 선희궁에서 헐린 재료들을 모아 지은 집이 현재의 석파랑을 이뤘다.

석파랑 별채는 흥선대원군 별장이었던 석파정의 사랑채 건물이었다. 1958년 소전이 매입해 현재 위치로 이전했는데 원래 ‘ㅡ자’형 건물이었으나 옮겨 짓는 과정에서 ‘ㄱ자’형 구조로 변형됐다. 10평 남짓한 아담한 규모지만 선비의 기품과 풍류가 배어 있다. 석파랑 본채는 순정효황후 윤씨의 생가를 옮겨 왔다. 이렇게 석파랑에는 시할아버지와 손자며느리의 건물이 시대를 넘어 같은 공간에 마주하고 있다. 목재와 나무, 돌들을 하나하나 옮기면서 한국 전통 가옥을 짓고자 했던 소전의 마음을 담은 석파랑 건물들에서 옛것과 새것이 공존하는 도시 서울을 읽을 수 있다.

정순희 ‘표석을 따라 경성을 거닐다’ 공저자

2019-07-25 19면
많이 본 뉴스
공무원 인기 시들해진 까닭은? 
한때 ‘신의 직장’이라는 말까지 나왔던 공무원의 인기가 식어가고 있습니다. 올해 9급 공채 경쟁률은 21.8대1로 3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공무원 인기가 하락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낮은 임금
경직된 조직 문화
민원인 횡포
높은 업무 강도
미흡한 성과 보상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