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근혜캠프, 보수대통합ㆍ경제민주화 논란 확산

박근혜캠프, 보수대통합ㆍ경제민주화 논란 확산

입력 2012-08-17 00:00
업데이트 2012-08-17 11:02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이혜훈 “최경환 발언 이해못해” 김종인 “경제민주화, 박근혜 결심해야”최경환 “경제민주화 포기 발언안해” 홍사덕 “YSㆍ昌 방문”

새누리당 대권주자인 박근혜 전 비대위원장 경선 캠프의 ‘노선 투쟁’이 확산하는 모양새다.

보수통합론과 경제민주화를 놓고 김종인 공동 선대위원장ㆍ이상돈 정치발전위원과 홍사덕 공동 선대위원장ㆍ최경환 총괄본부장 사이에 전개된 갈등 구조에 친박(친박근혜) 핵심 인사인 이혜훈 최고위원까지 가세하면서 상황이 더 복잡해졌다.

김 선대위원장은 이번 논란과 관련, 박 전 위원장의 결단을 촉구하는 듯한 발언까지 하면서 갈등이 최고조에 달한 것 아니냐는 관측도 나온다.

이 최고위원은 17일 평화방송 라디오에 출연, “최경환 총괄본부장이 ‘경제민주화 이슈를 대선까지 이어갈 수는 없다’고 말했다”는 질문에 “도저히 이해할 수 없는 발언”이라고 반박했다.

그러면서 “총선 때 경제민주화를 약속한 당의 공식입장과도 완전히 반대되고, 박 전 위원장이 대선출마를 선언하면서 경제민주화를 약속한 것에도 역행한 것”이라고 비판했다.

김 선대위원장도 MBC 라디오에 출연, “경제민주화 약속이 제대로 이행되지 않으면 선거에 어떤 영향을 미칠 지는 예견할 수 있다”고 지적했다.

그는 또 “경제민주화가 보수대연합에 장애가 된다고 하면 결국 못하는 것”이라며 “그 문제는 박 전 위원장 자신만이 결심할 사항”이라고 덧붙였다.

이에 대해 최 총괄본부장은 전날 기자간담회에서 “경제민주화를 대선까지 끌고 가지 않겠다는 것이 아니라, 복지나 경제민주화 두 가지 화두만 갖고 대선을 끌고 갈순 없다는 점에서 그 외에 일자리 담론이나 미래비전 등도 필요하다는 취지의 발언을 한 것”이라고 해명한 바 있다.

보수통합론을 놓고서도 이견이 계속됐다.

김 선대위원장은 “과거 한나라당, 지금 새누리당 지지층만 갖고 대선 승리로 이끌수 있다고 판단한다면 흔히 말하는 ‘덧셈ㆍ곱셈’, ‘1층ㆍ2층’ 얘기를 할 수 있지만, 표(票)에서 특별히 덧셈ㆍ곱셈할 수 있는 새 지지층이 있을 수 있겠느냐는 것에 대해 의미 없다고 본다”고 말했다.

전날 최 총괄본부장이 “끌어들일 수 있는 사람부터 먼저 덧셈을 하고 단점을 보완할 수 있는 외부 세력을 영입하는게 선거의 ABC”라며 덧셈론을 편 데 대한 반박으로 풀이된다.

이혜훈 최고위원은 그러나 이 점에 대해서는 김 위원장과 의견을 달리 했다.

이 최고위원은 “대선은 모든 위치를 다 끌어모아야 하는 큰 싸움”이라며 “보수대연합과 중도 표방 두 개 중에 마치 선택해야 하는 것처럼 논쟁이 벌어지는데 보수도 필요하고 중도도 필요하고 양측을 다 잡아야만 대선을 이길 수 있다”고 주장했다.

이와 관련해 홍 선대위원장이 최근 전직 당 대표들을 연쇄 접촉한 것으로 알려져 관심을 끈다.

홍 선대위원장 역시 ‘덧셈의 정치’를 기반으로 김 전 의원과 비박(비박근혜) 진영 핵심인 이재오 의원을 포용해야 한다는 점을 강조하고 있다.

홍 위원장은 연합뉴스와의 통화에서 “김영삼 전 대통령, 이회창 전 총재, 안상수ㆍ홍준표 대표 등 역대 한나라당 대표들을 찾아뵈었다”면서 “캠프 경선위원장으로서 역대 당 대표들을 찾아뵙는게 예의”라고 말했다.

그는 방문 목적에 대해 “인사를 간 것”이라며 자세한 언급은 피했다. 그러나 캠프 안팎에서는 홍 선대위원장이 보수통합론을 역설하있는 만큼, 우파정권 재창출을 위해 본선에서 박 전 위원장을 지지해줄 것을 요청한 것이 아니냐는 해석이 나온다.

특히 박 전 위원장에 대해 부정적 인식을 수차례 피력한 김 전 대통령을 만난 데 대해서는 박 전 위원장과의 ‘정치적 화해’를 시도한 것 아니냐는 관측도 제기된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