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주, 비대위 구성ㆍ대선패배 책임론 격론

민주, 비대위 구성ㆍ대선패배 책임론 격론

입력 2012-12-24 00:00
업데이트 2012-12-24 17:33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당무위-의원총회 연석회의… 비주류, 계파해체 주문도

민주통합당은 24일 대선 패배 책임론과 당 수습을 위한 비상대책위원회 구성을 놓고 격론을 벌였다.

민주당이 이날 5시간10분 간 개최한 당무위원회와, 당무위-의원총회 연석회의는 주류와 비주류, 친노(친노무현)와 비노 세력 간 대선 패배 원인과 정상화 해법을 둘러싼 확연한 입장차를 확인하는 자리였다.

당무위 회의 초반 비주류 측이 문재인 전 대선후보의 당 대표 권한대행직이 대선 종료와 함께 사라졌다고 주장하며 문 전 후보의 당무위 소집 자체를 문제삼는 바람에 즉석에서 당무위 회의 개최에 필요한 절차를 밟기도 했다.

문 전 후보의 비대위원장 지명 권한이 지난 21일 의총에 이어 또다시 첨예한 쟁점으로 등장했다.

비주류 측은 주류 측이 기득권 연장을 위해 비대위에 영향력을 행사하려는 의도를 갖고 있다는 의구심을 드러냈고, 주류 측은 문 전 후보가 이미 비대위원장을 지명하지 않겠다고 선언했다며 이런 시각을 일축했다.

당 법률위원장인 박범계 의원이 문 전 후보의 대표 권한이 대선일로 소멸했지만 법률상 정당 대표가 없으면 당이 소멸하는 만큼 문 전 후보가 통상적 당무만 할 수 있다는 유권해석을 내렸고, 당무위도 이 의견을 따랐다.

문 전 후보가 그동안 비대위원장 물색을 위해 당내외 인사를 만나며 두루 의견을 구했지만 결과적으로 문 전 후보의 비대위원장 지명 권한이 애초부터 없었다는 판단이 나온 셈이다.

원내대표가 비대위원장을 겸임할지, 따로 선출할지를 놓고도 설전이 벌어져 표결까지 진행한 끝에 겸임하는 쪽으로 의견이 모아졌다.

그동안 주류와 비주류 간 누적된 불만이 새 원내대표를 선출하는 과정에서 폭발하면 원내대표 경선이 대선 이후 권력투쟁의 시발점이 될 수 있다.

이날 회의에서는 이런 기류를 반영하듯 주류와 친노를 향한 계파해체 요구까지 제기될 정도로 책임론이 터져나왔다. 문 전 후보의 의원직 사퇴를 요구하는 듯한 발언도 있었다.

안민석 의원은 “기득권을 버릴 용기가 있다면 계파해체 선언이 필요하고, 세대교체도 해야 한다”고 말했고, 김동철 의원은 “계파의 이익을 우선하고 계파가 아닌 사람을 배제하는 상황에서는 미래가 없다”고 탈계파를 역설했다.

김태랑 전 의원은 1997년 대선 때처럼 친노(친노무현) 인사들이 대선 승리 후 임명직을 맡지 않겠다고 선언했어야 한다고 지적한 뒤 “이번에도 이런 논의가 있었지만 이해찬 한명숙 전 총리 등 2명이 서명을 안했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질서있는 쇄신과 단합이 필요하다는 반론도 나왔다.

친노 성향인 전해철 의원은 “대선에 대한 질서있는 평가가 필요하지만 개인적 평가는 삼가야 한다”고 말했고, 원혜영 의원은 “없던 일로 덮자는 것은 아니지만 갈등요인을 배제하고 단합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양승조 의원은 “싸우는 당내 투쟁은 지양돼야 한다. 문 전 후보에게 상처주는 말도 더이상 하지 말자”고 제안했다.

윤호중 사무총장은 비대위원장이 선임되면 총장직에서 사퇴하겠다고 밝혔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성심당 임대료 갈등, 당신의 생각은?
전국 3대 빵집 중 하나이자 대전 명물로 꼽히는 ‘성심당’의 임대료 논란이 뜨겁습니다. 성심당은 월 매출의 4%인 1억원의 월 임대료를 내왔는데, 코레일유통은 규정에 따라 월 매출의 17%인 4억 4000만원을 임대료로 책정할 수밖에 없다는 입장입니다. 성심당 측은 임대료 인상이 너무 과도하다고 맞섰고, 코레일유통은 전국 기차역 내 상업시설을 관리하는 공공기관으로 성심당에만 특혜를 줄 순 없다는 입장입니다. 임대료 갈등에 대한 당신의 의견은?
규정에 따라 임대료를 인상해야 한다
현재의 임대료 1억원을 유지해야 한다
협의로 적정 임대료를 도출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