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범계, 국정원 사건 당시 김용판 ‘배후’로 권영세 지목

박범계, 국정원 사건 당시 김용판 ‘배후’로 권영세 지목

입력 2013-06-17 00:00
업데이트 2013-06-17 13:24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수사 은폐·축소 없었다면 대통령은 문재인” 주장도

박범계 민주당 의원
박범계 민주당 의원


박범계 민주당 의원은 17일 국정원의 정치개입 의혹 사건과 관련해 “지난해 12월 16일 김용판 전 서울지방경찰청장을 중심으로 권영세 당시 새누리당 선거대책본부 종합상황실장(현 주중대사)과 박원동 당시 국정원 국익정보국장이 여러 차례 통화했다는 제보가 있다”고 밝혔다.

박 의원은 이날 오전 국회 법제사법위원회 전체회의에서 이같은 의혹을 제기하며 “이번 사건의 진상을 반드시 밝혀야 한다”고 강조했다.

박 의원은 당시 상황에 대해 “지난해 12월 16일 김무성 당시 새누리당 총괄선대본부장은 낮 기자간담회에서 ‘(경찰이) 아무런 댓글을 발견하지 못했다는 정보가 들어오고 있다’고 했고, 밤 10시 40분 박선규 대변인은 ‘국가적 관심사라 오늘 조사결과가 나올 것’이라고 말했다”면서 “이튿날 낮 권영세 당시 상황실장은 ‘민주당이 조작한 사건인데 이를 선거 뒤 발표하라는 건 어불성설’이라는 트위터 글을 올렸다”고 설명했다.

이어 “김 전 청장은 TK(대구·경북) 출신으로, 행정고시 합격 후 요상하게도 국정원에서 상당 기간 근무하다 경찰에 투신했다”면서 “권 당시 상황실장을 훌륭한 검사였지만 국정원에서 3년간 파견근무를 했으며, 2011~2012년 국정원을 다루는 국회 정보위원장이었다. 당시 회의에는 박 전 국장 등도 배석했다”고 말했다.

박 의원은 그러면서 “원세훈 전 국정원장과 김 전 청장은 무슨 배경에 세서 이런 어마어마한 전대미문의 국기문란의 사건을 벌였겠느냐”면서 “김 전 청장은 자신이 몸담았던 국정원의 여론조작과 선거개입의 커넥션을 지켜주는 임무를 무사히 완수했다”고 주장했다.

앞서 민주당도 전날 기자회견에서 지난해 12월 16일 대선 후보간 TV토론 직후 경찰의 1차 수사결과 발표가 이뤄지는 과정에서 김 전 청장과 박 국장 간 ‘직거래’ 의혹을 거론하면서 ‘배후설’을 제기한 바 있다.

황교한 법무부 장관은 이에 대해 “자주 발생하는 사건은 아니다”라면서 “그래서 검찰이 철저하게 수사한 것이고, 검찰은 아무런 정치적 고려없이 수사했으며 더 필요한 부분이 있다면 엄정하게 조사할 것”이라고 답했다.

한편 박범계 의원은 수사 은폐·축소 의혹을 제기하면서 경찰이 수사를 제대로 했다면 대선 결과가 바뀌었을 것이라는 주장을 펴기도 했다.

박 의원은 “(경찰 수뇌부가) ‘댓글이 없었다’고 발표하도록 지시하지 않고 수서경찰서가 그대로 발표하지 않았다면 선거 결과는 알 수 없었을 것”이라며 “경찰이 당시 확보했던 디지털분석 결과 보고서를 12월18일 제대로 발표했다면 대한민국 대통령은 문재인이었을 것”이라고 주장했다.

온라인뉴스부 iseoul@seoul.co.kr



많이 본 뉴스
핵무장 논쟁,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에서 ‘독자 핵무장’과 관련해 다양한 의견이 나오고 있습니다. 러시아와 북한의 밀착에 대응하기 위해 핵무장이 필요하다는 의견과 평화와 경제에 악영향을 미칠 수 있어 반대한다는 의견이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독자 핵무장 찬성
독자 핵무장 반대
사회적 논의 필요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