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야 싱크탱크 ‘신장개업’…정책경쟁 본격화

여야 싱크탱크 ‘신장개업’…정책경쟁 본격화

입력 2013-06-20 00:00
업데이트 2013-06-20 07:37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공동토론회 개최 통해 협력도 모색

”경제민주화와 같은 핵심 정책 이슈를 개발해 선점해야 정국을 주도할 수 있다.”

정치권이 최근 잇따라 ‘싱크탱크’를 새로 만들거나 대폭 개혁하는 등 ‘신장개업’을 통해 본격적인 정책경쟁에 뛰어들 채비를 갖추고 있다.

정치현안을 둘러싼 여야간 대립이 잦아지면서 ‘실탄’이라고 할 수 있는 현안대응책 조달이 신속히 이뤄져야 한다는 현실적 절박함과 함께, 가깝게는 내년 지방선거, 멀게는 차기 총선과 대선에 대비해 정책역량을 키워야 한다는 필요성에 따른 것이다.

새누리당은 지난 4월 ‘여의도연구소 혁신방안’을 발표하고, 이례적으로 사령탑인 소장에 4선의 이주영 의원을 임명해 임기 2년을 보장하는 등 연구소의 권한과 기능을 대폭 강화했다. 현재 1명인 상근부소장도 2명으로 증원하고 자체 인사위원회에서 연구위원을 임면하기로 하는 등 자율성도 강화했다.

민주당은 19일 민주정책연구원 쇄신 방안을 마련해 발표했다. 중앙당 전략기획 기능을 정책연구원 정세전략실에 넘기는 등 기능을 대폭 강화했다. 이는 중앙당 사무처를 슬림화하기 위해 불가피한 측면도 있었지만 당 싱크탱크의 역량을 키워야 한다는 전략적 고려도 작용했다. 중앙당에서 48명의 인력을 연구원으로 이동시켰으며 이 중 상당수를 지역 시·도당에 내려 보내 내년 지방선거에 본격 준비할 계획이다.

양당은 싱크탱크의 현실적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도 공조할 계획이다.

새누리당 이주영 여의도연구소장은 이날 안철수 의원의 ‘정책네트워크 내일’(이하 ‘내일’)의 창립 심포지엄에 참석해 “정당연구소는 현행법상 후원금을 모금하지 못한다”며 민주당과 관련법 개정 등을 통해 정당 정책연구소 발전방안을 공동 모색할 것이라고 밝혔다.

독자세력화를 모색하고 있는 무소속 안철수 의원측도 정책역량 강화에 가장 역점을 둬 싱크탱크격인 ‘내일’을 창립했고, 이날 창립기념 심포지엄을 갖는 등 본격 가동을 시작했다.

’내일’은 이제 제대로 일을 시작한 지 1주일 밖에 안돼 당장은 조직을 정비하는데 역점을 두고 있다. 현재 5명의 이사진과 정책위원(34명), 기획위원(18명) 등을 주축으로 지난 대선 때 안 의원의 정책자문 교수단을 중심으로 네트워크를 형성해 정책을 생산해 나갈 방침이다.

’내일’은 당의 정책연구소가 아니기 때문에 후원금을 모금해 운영할 방침이다.

여야 싱크탱크들은 독자적인 연구와 함께 공동토론회 개최도 추진하고 있다.

새누리당과 민주당은 18일 있었던 여야 대표간 합의에 따라 공동 토론회 개최를 추진중이다.

양당은 안 의원측 ‘내일’과의 공동 토론회 개최 가능성을 열어두고 있다.

여야가 싱크탱크의 권한과 기능을 강화하고 나서는 것은 경쟁력있는 정책을 양산해 제시함으로써 ‘정책 정당’의 이미지를 구축하기 위한 것으로 분석된다.

명지대 정치외교학과 신율 교수는 연합뉴스와의 통화에서 “국민들의 기존 정치에 대한 불신이 심각한 수준”이라며 “정책 개발에 몰두하는 모습을 보여 불신을 덜고 혁신 이미지를 얻으려는 노력”이라고 설명했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