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주, 대화록 실종에 MB정부 책임론 제기

민주, 대화록 실종에 MB정부 책임론 제기

입력 2013-07-18 00:00
업데이트 2013-07-18 11:15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참여정부 삭제·폐기 가능성 전무” 일축

민주당은 18일 국가기록원에 보관돼 있는 것으로 알려졌던 2007년 남북정상회담 대화록 원본의 행방이 묘연해진 것과 관련, “납득할 수 없다”며 이명박 정부의 폐기 가능성을 제기했다.

국가기록원이 대화록을 보유하고 있지 않다는 입장을 밝히자 “아직 못 찾았다는 게 옳은 대답”이라면서도, 대화록 원본이 끝내 없는 것으로 확인될 경우 예상되는 여권의 ‘노무현정부 폐기설’ 공세에 대비해 ‘맞불’을 놓겠다는 포석으로 읽힌다.

동시에 민주당은 고(故) 노무현 전 대통령이 대통령기록물관리법 제정을 주도한 점과 국가정보원에 대화록 사본을 남기도록 한 점 등을 내세우면서 “참여정부의 삭제·폐기 가능성은 전무하다”는 주장을 폈다.

당 지도부는 이날 비공개 최고위원회의에서 대화록 원본을 찾기 위한 노력을 계속 하되, 노 전 대통령의 폐기 가능성 쪽으로 몰고 가려는 여권의 프레임에는 적극 대응하자는 쪽으로 가닥을 잡은 것으로 알려졌다.

전병헌 원내대표는 원내대책회의에서 “일부에서 노 전 대통령에게 뒤집어 씌우려는 조짐이 있지만, 참여정부가 기록물을 파기했을 가능성은 전무하다”며 “기록물이 없는 것으로 확인된다면 민간인 사찰 은폐, 국정원 댓글 폐기 등의 전과가 있는 전임 이명박 정권을 의심하지 않을 수 없다”고 의혹을 제기했다.

민병두 전략홍보본부장도 기자간담회에서 “(원본이) 폐기된 것이라면 누가 했는지 유추가 가능하지 않은가”라며 “그들이 지난 5년간 한 일에 비춰보면 많은 의혹을 가질 수밖에 없다는 것”이라고 가세했다.

박지원 전 원내대표는 케이블채널인 MBN TV ‘뉴스공감’에 출연, 원본 실종 가능성에 대해 “이명박 정권은 BBK 기록물도 쥐도 새도 모르게 없앴고, 민간인 사찰 증거물도 없애버렸다”면 “이런 것을 보면 의심도 된다”고 주장했다.

이어 “대통령기록관장은 임기가 보장되는데, 이 전 대통령은 2008년 8월 노 전 대통령이 2007년말 임명한 기록관장을 해임한 뒤 2010년 3월 청와대 비서관을 기록관장으로 임명했다”고 지적했다.

특히 민주당은 “새누리당 열람위원들이 원본을 찾는 과정에서 처음부터 미온적이었다”며 새누리당이 원본 유실을 사전에 인지한 게 아니냐는 의구심도 드러냈다.

당 핵심 관계자는 연합뉴스와의 통화에서 “여권이 원본 유실을 미리 알았다면 그 자체가 불법”이라며 “지난 대선 과정에서 이명박-박근혜정권간에 모종의 거래가 있었다는 의혹을 떨칠 수 없다”고 주장했다.

이와 관련, 배재정 대변인은 국회 브리핑에서 “남재준 국정원장이 대화록 불법 공개 등 ‘정치 쿠데타’를 일삼은 이유가 혹시 원본이 없다는 사실을 알고 있었기 때문은 아닌가”라며 “대선 과정에서 ‘해적판 대화록’을 활용해온 새누리당은 그 진실을 알고 있는가”라고 반문했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공무원 인기 시들해진 까닭은? 
한때 ‘신의 직장’이라는 말까지 나왔던 공무원의 인기가 식어가고 있습니다. 올해 9급 공채 경쟁률은 21.8대1로 3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공무원 인기가 하락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낮은 임금
경직된 조직 문화
민원인 횡포
높은 업무 강도
미흡한 성과 보상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