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화록’ 공개 요구부터 ‘부재’ 확인까지

‘대화록’ 공개 요구부터 ‘부재’ 확인까지

입력 2013-07-18 00:00
업데이트 2013-07-18 11:52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국가기록원의 2007년 남북정상회담 대화록에 대한 공개 문제는 국가정보원이 지난달 24일 정상회담 대화록을 전격 공개하면서부터 도마 위에 오르기 시작했다.

국정원이 공개한 대화록의 내용과 생산 시점에 대해 여야 간의 왜곡 및 진위 논란이 가열되면서 국가기록원이 보관중인 대화록은 ‘뜨거운 감자’로 떠올랐다.

다만 이때까지만해도 국정원의 대화록 공개를 놓고 국제적 망신을 초래했다는 비판여론이 일고 있는 가운데, 국회가 나서서 국가기록원의 대화록 열람을 추진하는 데 대해 여야 모두 부담을 갖는 분위기였다.

이런 상황에서 정상회담 당시 고(故)노무현 전 대통령의 비서실장이었던 문재인 의원이 지난달 30일 성명을 내고 국가기록원의 대화록을 열람해 노 전 대통령의 ‘NLL(북방한계선) 포기’ 발언이 사실로 드러난다면 정계를 은퇴하겠다고 전격 선언하면서 열람 추진은 급물살을 타기 시작했다.

결국 민주당 지도부는 “NLL 논쟁을 종식시키겠다”며 팔을 걷어붙이고 대화록 열람을 추진하기 시작했고, 여야 모두 당내 일각의 반대 여론 속에서도 당론으로 열람을 추진키로 했다.

이에 따라 지난 2일 열린 국회 본회의에서 재적의원 3분의 2 이상의 찬성으로 대화록 제출 요구안이 가결돼 대화록 열람이 본격적으로 추진되기 시작했다.

여야는 ‘NLL(엔엘엘)’, ‘북방한계선’, ‘남북정상회담’ 등 7개 키워드를 국가기록원에 제시해 자료 제출을 위한 목록 검색을 하기로 합의했다.

이 과정에서 민주당 홍익표 전 원내대변인의 ‘귀태’(鬼胎) 발언으로 새누리당이 국회 일정을 전면 거부해 지난 12일 예정된 목록 예비열람이 취소되는 등 다소 일정에 차질이 빚어지기도 했다.

그러나 ‘귀태’ 파문이 수습되면서 새누리당과 민주당이 5명씩 지정한 10명의 열람위원들은 15일 보안각서를 내고 ‘철통보안’ 속에 국가기록원에서 예비열람을 진행했다.

당시 여야는 의견 차로 구체적으로 어떤 자료를 열람할지 결정을 내리지 못한 것으로 전해졌으나, 결정적으로 대화록을 찾지 못하면서 국가기록원에 자료 제출요구를 미룬 것으로 추정된다.

이어 여야 열람위원들은 17일 제2차 예비열람을 시도해 5시간 동안 검색을 했으나 끝내 대화록을 발견하지 못한채 발길을 돌렸다.

새누리당과 민주당은 사태의 심각성을 파악하고 18일 오후 국회 운영위원회를 열어 대화록을 찾지 못한 상황을 보고하고 향후 대책을 논의하기로 하는 등 긴박하게 움직였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공무원 인기 시들해진 까닭은? 
한때 ‘신의 직장’이라는 말까지 나왔던 공무원의 인기가 식어가고 있습니다. 올해 9급 공채 경쟁률은 21.8대1로 3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공무원 인기가 하락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낮은 임금
경직된 조직 문화
민원인 횡포
높은 업무 강도
미흡한 성과 보상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