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년만에 국회 찾은 JP “경제력 없으면 민주 없어”

5년만에 국회 찾은 JP “경제력 없으면 민주 없어”

입력 2013-12-11 00:00
업데이트 2013-12-11 00:0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운정회 창립총회 참석차 방문

“배고픈데 무슨 민주주의가 있고 자유가 있나.”

김종필(앞) 전 국무총리가 10일 국회 헌정기념관에서 열린 ‘운정회’(雲庭會)의 창립총회에 휠체어를 탄 채 들어서고 있다. 뒷줄 왼쪽부터 유원영 전 자민련 대변인, 이완구 새누리당 의원, 정진석 국회사무총장.
김종필(앞) 전 국무총리가 10일 국회 헌정기념관에서 열린 ‘운정회’(雲庭會)의 창립총회에 휠체어를 탄 채 들어서고 있다. 뒷줄 왼쪽부터 유원영 전 자민련 대변인, 이완구 새누리당 의원, 정진석 국회사무총장.
김종필(87) 전 국무총리는 10일 자신의 기념사업회인 ‘운정회’(雲庭會) 창립총회에 참석해 호통부터 쳤다. 현 시국에서 ‘민생’과 ‘경제성장’의 중요함을 강조하기 위함이었다. 그의 발언은 박근혜 대통령과 새누리당이 주장하고 있는 ‘경제활성화’와 큰 틀에서 맥을 같이한다. 이 때문에 관련법 처리에 집중하고 있는 여권에 힘을 실어 주기 위한 차원이 아니냐는 해석이 나왔다. 김 전 총리의 국회 방문은 2008년 2월 당시 이명박 대통령 취임식에 참석한 이후 5년 10개월 만이다. 2008년 12월 뇌졸중으로 쓰러진 뒤 자택에서만 지냈다. 이날도 휠체어에 탄 채 연설을 했다. 그럼에도 김 전 총리는 오른손에 힘이 없다 보니 왼손으로 참석자들과 일일이 악수를 나누며 건재를 과시했다. 1시간 30여분간 진행된 행사 내내 흐트러짐 없는 모습을 보였다.

김 전 총리는 인사말에서 맹자의 ‘무항산무항심’(無恒産無恒心·생계를 유지할 일정한 생산이 없으면 바른 마음을 가질 수 없다)이라는 문구를 여러 차례 언급했다. 그는 “항심은 민주주의와 자유를 갖고 살 수 있는 마음씨를 지적한 것인데, 그런 민주주의와 자유도 그것을 지탱하는 항산, 경제력이 없으면 할 수 없다”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박정희 전 대통령에 대한 향수를 꺼냈다. 김 전 총리는 “박 전 대통령이 살아 계셨다면 우리나라가 수출 1조 달러를 달성한 나라로 껑충 뛰었다는 것을 보고 엉엉 우셨을 것”이라고 말했다. 김 전 총리는 이어 “이제 내일모레 90이다. 돌이켜보니 더 잘할 수 있었는데 왜 못했을까 후회막급하다”면서 “이제 갈 곳은 죽을 곳밖에 없는데 국립묘지는 안 가겠다. 조상과 형제가 누워 있는 고향에 가서 눕겠다”고 밝혔다.

행사 직후 전·현직 국회의장 등과의 환담을 위해 국회 사랑재로 자리를 옮긴 김 전 총리는 “야당은 국회를 지키면서 집권당을 상대로 지면서 당에 이로운 것을 얻어 내는 방법을 모색해야지 물리력을 쓰면 결국은 손해”라고 충고를 남겼다.

김 전 총리의 아호를 딴 ‘운정회’는 김 전 총리가 국내 산업화에 기여한 공로를 기리자는 취지로 결성됐다. 이한동 전 국무총리가 회장을, 정우택·이완구·성완종 새누리당 의원과 정진석 국회 사무총장 등이 부회장을 맡았다. 운정회는 김 전 총리의 발언과 행적을 담은 저서 발간과 출생지인 충남 부여에 기념관 건립도 추진 중이다.

이날 행사에는 강창희 국회의장, 박희태·김재순 전 국회의장, 정운찬·이홍구 전 국무총리, 서청원·정몽준·이인제 의원, 심대평 전 충남지사 등 500여명이 참석했다.

이영준 기자 apple@seoul.co.kr

2013-12-11 6면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