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 초 말레이시아에서 VX로 독살된 김정은 북한 노동당 위원장의 이복형 김정남의 가방 속에 VX 신경작용제의 해독제가 들어있었던 사실이 뒤늦게 드러났다.
29일 국영 베르나마 통신 등 현지 언론에 따르면 말레이시아 화학청 소속 독물학자인 K. 샤르밀라(38·여) 박사는 이날 샤알람 고등법원에서 진행된 김정남 암살 사건 22일차 공판에서 김정남의 소지품 중에 아트로핀이 있었다고 증언했다.
CCTV에 찍힌 김정남 피살 장면 김정은 북한 노동당위원장의 이복형인 김정남이 지난 13일 쿠알라룸푸르 국제공항2에서 독극물 공격을 받는 장면을 담은 CCTV 영상이 일본 TBS 방송을 통해 공개됐다. 김정남이 3층 출국장 로비에서 자동체크인 기기로 향하고 있다. 2017.2.20 [TBS 유튜브 캡처=연합뉴스]
닫기이미지 확대 보기
CCTV에 찍힌 김정남 피살 장면
김정은 북한 노동당위원장의 이복형인 김정남이 지난 13일 쿠알라룸푸르 국제공항2에서 독극물 공격을 받는 장면을 담은 CCTV 영상이 일본 TBS 방송을 통해 공개됐다. 김정남이 3층 출국장 로비에서 자동체크인 기기로 향하고 있다. 2017.2.20 [TBS 유튜브 캡처=연합뉴스]
샤르밀라 박사는 “지난 3월 10일 오후 4시쯤 경찰로부터 독성검사를 위해 넘겨 받은 사망자의 가방 소지품 중 아트로핀 12정이 든 약병이 있었다”고 밝혔다고 연합뉴스가 전했다.
그는 약병의 라벨이 한국어로 쓰여 있었느냐는 피고인측 변호사의 질문에는 기억이 나지 않는다고 답했다. 아트로핀은 김정남을 살해하는데 사용된 화학무기인 VX 신경작용제의 대표적 해독제다.
VX에 노출될 경우 혈중 신경전달물질 분해 효소가 급감하면서 근육마비가 초래돼 사망하는데, 아트로핀은 중독 초기에 투여할 경우 이런 작용을 늦춰 목숨을 건질 가능성을 높여준다.
아트로핀을 휴대했다는 것은 김정남이 평소 독극물에 의한 암살 가능성을 우려했다는 방증일 수 있다.
김정남 시신 미스테리 온라인커뮤니티 캡처
닫기이미지 확대 보기
김정남 시신 미스테리
온라인커뮤니티 캡처
김정남이 피습 직후 해당 약물을 복용했는지는 알려지지 않았다. 하지만 상태가 급격히 악화한 점에 미뤄볼 때 미처 복용하지 못했을 가능성이 커 보인다.
그는 올해 2월 13일 오전 쿠알라룸푸르 국제공항 제2터미널에서 VX 신경작용제 공격을 받고 공항내 진료소로 옮겨진 뒤 발작을 일으켰다.
한편 말레이시아 쿠알라룸푸르병원(HKL) 소속 부검의인 누를리자 압둘라(52·여) 박사는 전날 샤알람 고등법원에서 열린 김정남 암살 공판에 증인으로 출석해 “김정남의 시신은 화학무기인 VX 신경작용제에 노출된 환자들에게서 발견되는 전형적인 증상을 보였다”고 증언했다.
온라인뉴스부 iseoul@seoul.co.kr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