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날(27일) 남북 정상이 ‘2018 남북 정상회담’에서 오는 8월 15일 광복절을 계기로 이산가족·친척 상봉을 진행하기로 합의한 가운데 향후 상봉대상자 생사확인 등 본격적인 상봉 준비에 돌입할 전망이다.
문재인 대통령과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은 27일 판문점 남측 평화의집에서 회담을 진행한 이후 이 같은 내용이 담긴 공동선언문에 서명했다. 이로써 지난 2015년 10월 이후 3년 가까이 단절됐던 이산가족 교류가 재개를 앞두게 됐으며 28일 기준 110일 앞으로 다가왔다.
북한은 올 초 현 정부 들어 처음 열린 고위급회담에서 이산가족 상봉 재개를 회담의 의제로 거론하려는 우리 측의 움직임에 2016년 4월 국내에 입국한 중국 식당의 북한 여종업원 문제를 이유로 거부했지만, 최근 들어 활발해진 남북 교류를 증명하듯 이번에는 전제 조건을 버렸다.
전례에 비춰볼 때 남북이 이산가족 상봉을 진행하기 전에는 남북 간 적십자회담이 열린다. 이제껏 남북 적십자회는 이산가족들의 △생사 소재 확인 및 통보 △상봉 및 방문 △서신 거래 △가족 재결합 △기타 인도문제 해결 등 5개항을 의제로 삼아 서울과 평양에서 교대로 회담을 개최한 바 있다.
적십자회담이 열리고 이산가족 상봉을 준비하는 기간은 통상 한 달 넘는 기간이 필요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예기치 못한 문제로 준비가 다소 늦어질 가능성이 있는 만큼 최소 다음 달 중으로 남북 적십자회담이 열릴 것으로 보인다.
상봉 행사를 위해선 상봉 신청자 추첨, 남북의 교차 생사확인, 상봉자 명단 확정 등 준비돼야 할 것들이 산적해 있는 만큼 즉시 회담이 열려 실무급에서 준비가 진행될 전망이다.
일부 이산가족들로부터 이산가족 상봉 행사만큼이나 북한에 있는 가족들의 생사 확인, 편지 왕래, 스마트폰을 통한 화상통화 등을 원하는 분위기도 있는 만큼 회담에서는 서신 교환 등 상봉 행사 그 외의 것도 논의될 것으로 보인다.
한편 통일부와 대한적십자사가 공동 운영하는 이산가족정보통합시스템에 따르면 1988년부터 지난 3월 말까지 시스템에 등록된 이산가족 상봉 신청자는 13만1531명으로, 이 가운데 7만3611명이 사망해 생존자는 5만7920명으로 집계됐다.
이 중 80대 이상 비율이 전체의 64.2%(3만7198명)이며, 70대 이상은 전체의 86.3%나 된다. 이산가족 생존자의 고령화가 가속화되고 있어 북에 있는 가족과 친지를 보지 못한 채 세상을 떠나는 이산가족도 점점 증가하는 추세다.
온라인뉴스부 iseoul@seoul.co.kr
2004년 7월 금강산 김정숙휴양소에서 열린 제10차 남북이산가족 공동 오찬에서 어머니 강한옥 씨와 함께 북측의 작은 이모 강병옥 씨를 상봉한 문재인 대통령.
연합뉴스.
연합뉴스.
북한은 올 초 현 정부 들어 처음 열린 고위급회담에서 이산가족 상봉 재개를 회담의 의제로 거론하려는 우리 측의 움직임에 2016년 4월 국내에 입국한 중국 식당의 북한 여종업원 문제를 이유로 거부했지만, 최근 들어 활발해진 남북 교류를 증명하듯 이번에는 전제 조건을 버렸다.
전례에 비춰볼 때 남북이 이산가족 상봉을 진행하기 전에는 남북 간 적십자회담이 열린다. 이제껏 남북 적십자회는 이산가족들의 △생사 소재 확인 및 통보 △상봉 및 방문 △서신 거래 △가족 재결합 △기타 인도문제 해결 등 5개항을 의제로 삼아 서울과 평양에서 교대로 회담을 개최한 바 있다.
2015년 10월 금강산에서 열린 제20차 이산가족 상봉행사가 끝나고 남북 가족들이 아쉬움 속에 기약 없는 작별을 고하고 있다.
연합뉴스.
연합뉴스.
상봉 행사를 위해선 상봉 신청자 추첨, 남북의 교차 생사확인, 상봉자 명단 확정 등 준비돼야 할 것들이 산적해 있는 만큼 즉시 회담이 열려 실무급에서 준비가 진행될 전망이다.
일부 이산가족들로부터 이산가족 상봉 행사만큼이나 북한에 있는 가족들의 생사 확인, 편지 왕래, 스마트폰을 통한 화상통화 등을 원하는 분위기도 있는 만큼 회담에서는 서신 교환 등 상봉 행사 그 외의 것도 논의될 것으로 보인다.
2015년 10월 금강산에서 열린 제20차 이산가족 상봉행사에서 극적 상봉을 한 모자가 야속한 세월을 탓하며 서로를 위로 하고 있다.
연합뉴스.
연합뉴스.
이 중 80대 이상 비율이 전체의 64.2%(3만7198명)이며, 70대 이상은 전체의 86.3%나 된다. 이산가족 생존자의 고령화가 가속화되고 있어 북에 있는 가족과 친지를 보지 못한 채 세상을 떠나는 이산가족도 점점 증가하는 추세다.
온라인뉴스부 iseoul@seoul.co.kr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