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은 북한이 또 다시 무력을 사용할 경우 “제 손으로 제 눈을 찌르는 것 아니냐”고 말한 것으로 전해졌다.
조명균 통일부장관은 30일 국회에서 열린 ‘남북정상회담 결과 보고’ 에서 “북한의 무력 불사용, 불가침과 관련해서 김정은 위원장은 맹약이라는 표현을 썼고, 확약할 수 있다는 표현을 썼다고 한다”며 이렇게 말했다고 박범계 수석대변인이 비공개 결과 보고 브리핑을 통해 전했다.
앞서 이날 오전 조 장관은 국회를 찾아 추미애 더불어민주당 대표, 남·북미정상회담 지원 특별위원회 위원장인 이해찬 의원 등이 참석한 자리에서 비공개로 지난 27일 남북정상회담 결과를 보고 했다.
박 수석대변인에 따르면 이 자리에서 조 장관은 “문재인 대통령이 (김정은 위원장과) 판문점 선언에 마련된 개성에 설치하기로 한 남북연락사무소 외에도 서울과 평양에 연락사무소 설치 문제도 계속 협의해 나가야 하는 것 아니냐는 말씀을 했다”며 “그리고 신경제지도구상에 대해서 포괄적으로 김정은 위원장에 설명했다”고 말했다.
조 장관은 “김 위원장은 본인이 먼저 선제적으로 통 크게 시원하게 그런 입장들을 갖고 정상회담에 임한 것으로 보인다”며 “한편으로는 합의문 하나하나 꼼꼼히 파악을 하고, 그 의미를 구체적으로 체크하면서 이행문제까지도 챙겼다”고 말했다.
또한 도보다리 회담과 관련해선 “양 정상 간에 배석자 없는 대화가 있었고 거기서부터 평화의집까지 오는 것을 포함했고, 오는 동안에도 두 정상이 대화를 나눴다”며 “그 뒤에 최대 15분 정도 배석자 없이 소통을 이어나갔다”고 말했다.
조 장관은 “이번에 무엇보다 의미있게 양 정상이 완전히 길을 텄다, 말문을 텄다”며 “그 점이 인상깊었다”고 말했다고 박 수석대변인은 전했다. 또한 개성 연락사무소에 대해서 조 장관은 “개성공업지구가 크게 준비할 필요가 없는 인프라가 되어 있기 때문에 우선순위로 검토해 볼 수 있다”며 “이것은 개성공단 재개와는 별개의 문제”라고 말했다.
조 장관은 또 정당 교류협력 등에 대해선 “6·15 공동선언기념식이나 8·15기념식, 10·4 선언 기념식 같은 행사에 관계당국, 국회, 정당이 합친 공동행사를 논의해 볼 수 있는 것 아니냐”고 말한 것으로 전해졌다.
한편 박 수석대변인은 이날 국회 비준 동의와 관련된 논의에 대해선 “의견 개진이 있었는데, 정부의 입장은 법제처의 판단을 거쳐야 될 문제”라며 “그런 절차를 거쳐야 정부의 입장이 공식화 될 수 있는것”이라고 덧붙였다.
이어 “온 국민이 성원하고 지지하는 이번 판문점 선언에 대해서 국민의 대표인 국회가 힘을 실어줘야 하는 것 아니냐”며 “그런 차원에서 판문점 선언에 대한 국회 비준 문제가 논의되어야 한다는 것이 당의 공식 입장”이라고 말했다.
온라인뉴스부 iseoul@seoul.co.kr
문재인 대통령과 김정은 국무위원장은 도보다리 위에서 담소를 나누고 있다. 2018.4.27
한국 공동사진기자단
한국 공동사진기자단
앞서 이날 오전 조 장관은 국회를 찾아 추미애 더불어민주당 대표, 남·북미정상회담 지원 특별위원회 위원장인 이해찬 의원 등이 참석한 자리에서 비공개로 지난 27일 남북정상회담 결과를 보고 했다.
박 수석대변인에 따르면 이 자리에서 조 장관은 “문재인 대통령이 (김정은 위원장과) 판문점 선언에 마련된 개성에 설치하기로 한 남북연락사무소 외에도 서울과 평양에 연락사무소 설치 문제도 계속 협의해 나가야 하는 것 아니냐는 말씀을 했다”며 “그리고 신경제지도구상에 대해서 포괄적으로 김정은 위원장에 설명했다”고 말했다.
조 장관은 “김 위원장은 본인이 먼저 선제적으로 통 크게 시원하게 그런 입장들을 갖고 정상회담에 임한 것으로 보인다”며 “한편으로는 합의문 하나하나 꼼꼼히 파악을 하고, 그 의미를 구체적으로 체크하면서 이행문제까지도 챙겼다”고 말했다.
문재인 대통령과 김정은 국무위원장이 27일 오전 판문점 평화의 집 2층 회담장에서 남북정상회담을 하고 있다.
안주영 기자 jya@seoul.co.kr
안주영 기자 jya@seoul.co.kr
조 장관은 “이번에 무엇보다 의미있게 양 정상이 완전히 길을 텄다, 말문을 텄다”며 “그 점이 인상깊었다”고 말했다고 박 수석대변인은 전했다. 또한 개성 연락사무소에 대해서 조 장관은 “개성공업지구가 크게 준비할 필요가 없는 인프라가 되어 있기 때문에 우선순위로 검토해 볼 수 있다”며 “이것은 개성공단 재개와는 별개의 문제”라고 말했다.
조 장관은 또 정당 교류협력 등에 대해선 “6·15 공동선언기념식이나 8·15기념식, 10·4 선언 기념식 같은 행사에 관계당국, 국회, 정당이 합친 공동행사를 논의해 볼 수 있는 것 아니냐”고 말한 것으로 전해졌다.
김정은(가운데) 북한 국무위원장이 27일 오전 남북정상회담 후 평화의 집 1층으로 내려와 조명균(오른쪽) 통일부 장관과 대화를 하며 나서고 있다.
안주영 기자 jya@seoul.co.kr
안주영 기자 jya@seoul.co.kr
이어 “온 국민이 성원하고 지지하는 이번 판문점 선언에 대해서 국민의 대표인 국회가 힘을 실어줘야 하는 것 아니냐”며 “그런 차원에서 판문점 선언에 대한 국회 비준 문제가 논의되어야 한다는 것이 당의 공식 입장”이라고 말했다.
온라인뉴스부 iseoul@seoul.co.kr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