헌병 명칭 72년 만에 ‘군사경찰’로 변경됐다…관보에 고시

헌병 명칭 72년 만에 ‘군사경찰’로 변경됐다…관보에 고시

강경민 기자
입력 2020-02-05 10:42
업데이트 2020-02-05 10:42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육모방망이’ 빼고 권총 두자루 형상화 새 마크

이미지 확대
30일 오후 경기도 수원시 장안구 SK아트리움에서 열린 ‘2019 을지태극연습 실제훈련’에서 51사단 헌병특임대원들이 테러범 제압을 위해 진입하고 있다. 2019.5.30  연합뉴스
30일 오후 경기도 수원시 장안구 SK아트리움에서 열린 ‘2019 을지태극연습 실제훈련’에서 51사단 헌병특임대원들이 테러범 제압을 위해 진입하고 있다. 2019.5.30
연합뉴스
한국군에서 ‘헌병’(憲兵)이란 명칭이 72년 만에 사라졌다.

국방부는 5일 “헌병을 군사경찰(Military Police)로 개칭하는 내용의 군사법원법 개정법률이 어제 관보에 고시됐다”면서 “오늘부터 헌병이란 명칭 대신 군사경찰로 부른다”고 밝혔다.

국방부 조사본부는 헌병 표지를 군사경찰로 교체하는 작업을 진행 중이다.

육군 군사경찰 마크도 기존 ‘육모방망이’를 빼고 권총 두 자루와 칼 형상의 새로운 마크로 교체했다. 새 마크의 권총은 전투지원 기능을 상징하고 칼은 전투기능을 의미한다.

국방부 조사본부는 “헌병이란 명칭은 우리보다 앞서 1870년대부터 일본에서 먼저 사용해 부정적인 이미지가 현재도 남아 있다”라면서 “헌병이란 의미가 법 집행 즉 수사에만 한정되어 있어 현재의 다양한 임무를 수행하는 병과의 정체성을 정확하게 표현하지 못했다”고 개정 배경을 설명했다.

헌병의 연혁 자료를 보면 1947년 3월 군감대가 설치됐고, 이듬해 3월 11일 조선경비대 군기사령부가 창설됐다. 1948년 12월 15일 군기병을 헌병으로 개칭하고 헌병 병과가 창설됐다.

헌병 출신 예비역들은 “우리나라는 고종황제 때 비록 일본식 모델인 헌병을 토대로 헌병사령부를 설치했으나 1907년 일제에 의한 대한제국 군대 강제 해산 때 헌병도 폐지됐다”면서 “1949년 7월 ‘헌병령’이 공포됐으며 해방 후 미군이 주둔하면서 일본을 모델로 했던 대한제국의 헌병에서 벗어나 미국식의 헌병으로 거듭났다”고 주장한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