文대통령 “인공지능 편리함과 동시에 어두운 측면도 고민해야”

文대통령 “인공지능 편리함과 동시에 어두운 측면도 고민해야”

임일영 기자
임일영 기자
입력 2020-11-25 17:15
업데이트 2020-11-25 17:15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사람 중심 AI시대… 파생되는 새 일자리 많이 창출”

이미지 확대
문재인 대통령이 25일 경기도 일산 킨텍스에서 열린 한국판 뉴딜 ‘대한민국 인공지능’을 만나다 행사에서 김윤 SKT 부사장으로부터 국내 최초 개발한 인공지능 반도체를 증정 받고 있다. 2020. 11. 25 도준석 기자pado@seoul.co.kr
문재인 대통령이 25일 경기도 일산 킨텍스에서 열린 한국판 뉴딜 ‘대한민국 인공지능’을 만나다 행사에서 김윤 SKT 부사장으로부터 국내 최초 개발한 인공지능 반도체를 증정 받고 있다. 2020. 11. 25 도준석 기자pado@seoul.co.kr


문재인 대통령은 25일 “우리는 인공지능(AI)이 가져올 편리함과 동시에 사람의 소외를 초래할지도 모를 어두운 측면도 무겁게 고민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문 대통령은 경기 고양시 일산킨텍스에서 AI 업계·전문가 등이 참석한 가운데 ‘한국판 뉴딜, 대한민국 인공지능을 만나다’ 행사에서 “아무리 인공지능과 로봇이 생산성과 효율성을 높인다 해도 사람을 대체할 수는 없으며 경제적 가치와 함께 사람 중심의 가치의 중요성을 생각하며 미래를 설계해야 할 것”이라며 이렇게 말했다.

문 대통령은 “정부의 목표는 단지 인공지능 기술력 1등 국가가 아니라 인공지능으로 국민 모두 행복한 나라가 되는 것”이라며 “우리나라는 연간 노동시간이 OECD(경제협력개발기구) 국가 중 세 번째로 길지만 노동생산성은 하위권에 속하고, 교육 수준은 최고지만, 공동체와 환경, 일과 삶의 균형은 하위권”이라고 밝혔다.

이어 “인공지능은 우리가 꿈꿔온 일상을 실현하고, 우리 삶을 더 풍요롭게 만들어 줄 수 있을 것”이라며 “데이터 가공인력, 디지털 강사, 인공지능 개발자 같은 직접적 일자리는 물론 파생되는 새로운 일자리를 많이 창출할 수 있게 될 것”이라고 설명했다.

4차 산업혁명의 핵심인 AI 기술이 발달할수록 기존 일자리는 잠식되고, 사회안전망이 촘촘하게 뒷받침되지 않는다면 삶의 질이 악화될 수도 있다는 우려를 불식시키려는 의도로 풀이된다.

그러면서 문 대통령은 ▲인공지능 기술혁신 속도를 높여 인공지능 반도체를 제2의 D램으로 키우도록 규제 개선과 기업 혁신을 돕고 ▲한국판 뉴딜로 인공지능 인력을 총 10만명으로 늘리는 등 인재양성과 함께 산업현장 노동자들에 대한 교육을 확대하며 ▲한국판 뉴딜의 대표사업인 ‘데이터 댐’ 사업을 통해 자율차, 로봇, 스마트공장, 스마트팜 등 산업 분야별 혁신 방안과 연계해 데이터 활용 속도를 높이겠다고 밝혔다.

이날 행사는 문재인 정부의 인공지능 기본구상과 국가전략 수립 이후 1년 간의 성과와 비전을 공유하고 기업을 격려하는 자리였다. 문 대통령이 한국판 뉴딜을 국가전략 비전으로 설정한 뒤 여덟번째 현장 행보다.

임일영 기자 argus@seoul.co.kr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