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부겸 청문회, 여야간 기싸움…첫발부터 삐걱

김부겸 청문회, 여야간 기싸움…첫발부터 삐걱

김채현 기자
김채현 기자
입력 2021-04-27 18:45
업데이트 2021-04-27 18:45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이미지 확대
출근하는 김부겸 후보자
출근하는 김부겸 후보자 김부겸 국무총리 후보자가 23일 인사청문회 준비 사무실이 있는 통의동 금융감독원 연수원으로 출근하고 있다. 2021.4.23 연합뉴스
인사청문특위, 첫 회의부터 파행
野 “영상자료 왜 막나”


김부겸 국무총리 후보자 검증을 위한 국회 인사청문특위가 27일 청문회 계획 논의를 위한 첫 회의부터 파행했다.

회의 진행 방식을 둘러싼 여야간 기싸움으로 회의 자체가 열리지 못한 채 장외공방이 계속됐다.

애초 특위는 이날 오후 3시 회의를 열어 인사청문회 실시 계획서를 채택하고 김 후보자에게 제출을 요구할 자료와 증인·참고인 채택 문제 등을 논의할 예정이었다.

하지만 여야 위원들은 회의 전 사전 논의 과정에서 청문회장에서 음성이나 영상 자료를 트는 문제를 놓고 견해차를 좁히지 못했고, 이로 인해 회의 자체가 무산됐다.

야당 간사인 국민의힘 김도읍 의원과 이양수 조수진 의원 등은 별도 기자회견을 열고 “민주당이 청문회에서 음성이나 영상을 트는 것을 원칙적으로 금지하고, 예외적으로 자신들이 우리 당 의원들의 자료를 사전에 확인하면 활용해도 된다는 취지로 주장했다”고 밝혔다.

이어 “의원들의 의정활동 내용을 사전에 검열하겠다는 무도한 자세를 바꾸지 않는 한 청문회 일정을 잡기 어렵다”고 경고했다.

이에 여당 간사인 더불어민주당 박찬대 의원 측은 “후보자의 반론권 보장 등을 위해 그동안 청문회장에서 확인되지 않은 영상이나 음향 자료를 틀지 않았다”면서 “정세균 전 국무총리 인사청문회에서 영상자료를 튼 적이 있지만, 그때는 여야 위원들이 전날 자료를 확인했다”고 반박했다.

한편 김 후보자는 지난 2017년 6월 문재인 정부 첫 행정자치부(현 행정안전부) 장관으로 발탁됐을 당시 비교적 인사청문 심사경과 보고서가 무난하게 채택되면서 ‘의원 불패’ 신화를 이어간 바 있다.

그러나 야당의 압승으로 귀결된 4·7 재보선 이후 치러지는 이번 인사청문회에서 국민의힘이 4년 전과는 달라진 모습을 보이며 초장부터 기선제압에 나서고 있어 험로가 예상된다.

김채현 기자 chkim@seoul.co.kr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