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두환 전 대통령(1931~2021) 연보

전두환 전 대통령(1931~2021) 연보

정현용 기자
정현용 기자
입력 2021-11-23 10:38
업데이트 2021-11-23 10:38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전두환 전 대통령 연희동 자택서 사망
전두환 전 대통령 연희동 자택서 사망 전두환 전 대통령이 23일 별세했다. 향년 90세.
지병을 앓아온 전 전 대통령은 이날 오전 8시40분께 서울 서대문구 연희동 자택에서 숨졌다.
사진은 올해 8월 9일 광주에서 열린 항소심 재판에 출석하기 위해 연희동 자택을 나서는 전 전 대통령. 2021.11.23.
연합뉴스
전두환 전 대통령이 23일 오전 8시 40분쯤 서울 서대문구 연희동 자택에서 사망했다. 다음은 전 전 대통령의 출생에서부터 사망까지 연보.

▲ 1931년 1월 18일 = 경남 합천군 율곡면 내천리 출생

▲ 1951년 = 육군사관학교 11기 입학

▲ 1955년 = 육군 소위 임관

▲ 1959년 = 이순자 여사와 결혼(슬하에 3남 1녀 둠)

▲ 1961년 = 육사 생도들의 5·16 군사쿠데타 지지 시위 주도

▲ 1963년 = 중앙정보부 총무국 인사과장. 육군본부 인사참모부 인사과장

▲ 1967년 = 수도경비사령부 제30대대장

▲ 1969년 = 육사 11기 중 첫 대령 진급

▲ 1970년 = 육군 제9보병사단(백마부대) 29연대장으로 월남전 참전

▲ 1973년 = 육군 준장 진급

▲ 1976년 = 청와대 대통령경호실 작전차장보

▲ 1977년 = 육군 소장 진급

▲ 1978년 = 육군 제1사단장. 북한 제3땅굴 발견해 ‘5·16 민족상’ 수상

▲ 1979년 = 국군 보안사령부 사령관. 계엄사령부 합동수사본부장으로 10·26 사태 수사.

수도권 지역 무장병력 6000명 동원 육군본부·국방부·수경사·특전사 등 점거해 정승화 계엄사령관 체포하는 등 12·12 군사반란 주도
7일 상오 서울고법 417호 대법정에서 열린 12.12 및 5.18사건 항소심 첫 공판에서도 2분여 동안 법정촬영이 허용돼 전두환·노태우 피고인 등 관련피고인 16명이 기립해 있는 모습이 공개됐다.1996.10.07. 서울신문 DB
7일 상오 서울고법 417호 대법정에서 열린 12.12 및 5.18사건 항소심 첫 공판에서도 2분여 동안 법정촬영이 허용돼 전두환·노태우 피고인 등 관련피고인 16명이 기립해 있는 모습이 공개됐다.1996.10.07.
서울신문 DB
▲ 1980년 = 전국에 비상계엄령 선포. 3김(김영삼·김종필·김대중) 가택 연금 또는 구속. 전국 대학에 휴교령. 국회 봉쇄.

계엄군과 공수특전여단 광주 투입, 5·18광주민주화운동 무력 진압. 국가보위비상대책위원회 상임위원장. 삼청교육대 설치.

육군 대장 진급 뒤 예편. 민주공화당·신민당 등 강제해산. 대통령 간선제 및 7년 단임제 골자로 한 8차 개헌 실행. 통일주체국민회의에 의한 간접선거로 11대 대통령 선거 당선. 대통령 취임

▲ 1981년 = 민주정의당 입당, 초대 총재로 추대. 대통령선거인단에 의한 간접선거로 제12대 대통령 선거에서 당선. 대통령 취임

▲ 1982년 = 한국프로야구 창설. 국풍 81 개최

▲ 1983년 = 아웅산 테러 사건으로 공식·비공식 수행원 17명 사망

▲ 1984년 = 홍수 피해 북한에 식량지원

▲ 1985년 = ‘남북이산가족 고향방문단 및 예술공연단’으로 첫 이산가족 상봉 성사

▲ 1986년 = . 3저 호황(원유가격 하락·달러 가치의 하락·국제금리 하락)으로 무역수지 흑자 전환. 서울 아시안게임 개최

▲ 1987년 = 박종철 열사 고문치사 사건 발생. 4·13 호헌조치. 이한열 열사 경찰이 쏜 최루탄에 맞아 사망. 6월 민주항쟁 전국 확산. 노태우 민주정의당 대표가 6·29 선언 발표해 직선제 개헌 요구 수용

▲ 1988년 = 대통령 퇴임. 백담사 첩거. 민주정의당 탈당

▲ 1989년 = 국회 ‘5공 비리 청문회’ 참석

▲ 1990년 = 서울 서대문구 연희동 자택 복귀

▲ 1994년 = 5·18광주민주화운동 피해자들이 내란 및 내란목적살인 혐의로 고소
전두환 전대통령이 12.12,광주사태-5.18 특별법에 따라 구속집행이 확정, 경남 합천에서 안양교도소로 압송되고 있다 1995.12.3. 서울신문 DB
전두환 전대통령이 12.12,광주사태-5.18 특별법에 따라 구속집행이 확정, 경남 합천에서 안양교도소로 압송되고 있다
1995.12.3.
서울신문 DB
▲ 1995년 = 검찰, ‘성공한 쿠데타는 처벌할 수 없다’며 불기소 처분. 헌법재판소, 불기소 처분 취소. 검찰, ‘12.12 및 5.18특별수사본부’ 설치 후 재수사 개시. 사전구속영장 발부돼 안양교도소에 구속 수감

▲ 1996년 = 5·18 사건에서의 내란죄·내란목적살인죄 혐의 등으로 구속 기소. 1심에서 사형과 2259억원 추징금 선고. 항소 후 2심에서 무기징역 감형과 추징금 2205억원 선고

▲ 1997년 = 대법원 2심 선고 확정. 특별사면 후 석방

▲ 1999년 = 백범기념관 건립위원회 고문

▲ 2003년 = 법원 재산 명시 명령에 ‘예금자산 29만원’ 기재. 검찰, 진돗개 2마리, TV·냉장고·피아노 등 경매 처분

▲ 2004년 = 이순자씨, 추징금 200억원 대납

▲ 2006년 = 세무 당국을 상대로 80억원대 증여세 부과 취소소송 제기
김대중대통령 취임식에서 연단에 선 김영삼·노태우·전두환 전직 대통령.98.02.26. 서울신문 DB
김대중대통령 취임식에서 연단에 선 김영삼·노태우·전두환 전직 대통령.98.02.26.
서울신문 DB
▲ 2013년 = 대검찰청, 고액 벌과금 집행팀 마련. 서울중앙지검에 전씨 미납 추징금 1672억원 집행을 위한 전담팀 구성. ‘전두환 추징법’(공무원범죄에 관한 몰수 특별법 일부개정안) 국회 통과. 전씨 추징금 환수 시효 2020년 10월까지로 연장

▲ 2017년 = 회고록 출간. 조비오 신부 유족 등이 사자 명예훼손 혐의 형사고소. 광주지법 전두환 회고록 출판·배포금지 결정. 회고록 5·18 일부 내용 삭제 재출간

▲ 2018년 = 알츠하이머 진단 사실 공개하며 첫 공판 불출석

▲ 2019년 = 광주지법 형사재판 3차 공판, 이순자 여사와 함께 출석

▲ 2020년 11월 30일 = 사자명예훼손 혐의, 징역 8개월에 집행유예 2년 유죄판결

▲ 2021년 8월 9일 = 사자명예훼손 혐의 항소심 재판 출석

▲ 2021년 11월 23일 사망
정현용 기자 junghy77@seoul.co.kr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