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관위, 채용 비리 자료 조작… 문건 파기까지”

“선관위, 채용 비리 자료 조작… 문건 파기까지”

허백윤 기자
허백윤 기자
입력 2024-05-02 02:55
업데이트 2024-05-02 08:09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감사원 감사에 ‘조직적 방해’

연루자 인적사항 지운 복사본 제출
감사장엔 PC·인터넷 설치 안 해줘
정기감사 때도 선별한 자료만 제공


이미지 확대
채용 이미지.
채용 이미지.
중앙선거관리위원회가 간부 자녀의 특혜 채용 의혹에 대한 감사원 감사를 사실상 조직적으로 방해한 것으로 드러났다. 감사원 관계자들이 “이런 기관은 처음”이라며 충격적이라는 반응을 내보이는 데는 이처럼 조직 내부에 만연한 특권의식과 안일함 때문이었다고 한다.

1일 감사원에 따르면 선관위는 지난해 7월 경력 채용 비리 의혹에 대한 감사원 감사 때 감사장도 제대로 마련하지 않았다. 보통 피감기관들은 현장 감사에 나온 감사관들이 일할 수 있는 공간과 컴퓨터, 집기 등을 제공한다.

그러나 중앙선관위를 제외한 8개 시도지사 선관위에서는 공간만 내주고 감사가 끝날 때까지 컴퓨터와 인터넷을 설치하지 않았다. 감사를 나간 50여명은 개인 컴퓨터를 가져갔고, 일부 선관위에 항의한 끝에 프린터 한 대만 겨우 받았다. 감사에 앞서 감사원은 지난해 5월부터 자료 조사에 들어갔지만 실제 자료를 받은 건 7월 말부터였다.

그마저도 채용 비리에 연루된 전현직 직원들의 인적사항을 검은색 펜으로 지운 복사본을 제출하거나 컴퓨터 포렌식 협의에만 2~3주를 끄는 등 비협조적이었던 것으로 알려졌다. 일부 파일은 변조하거나 문서를 파쇄하면서 증거 인멸도 시도했다.

막상 신경전 끝에 컴퓨터 포렌식을 하자 오히려 감사관들이 놀랐다고 한다. 한 관계자는 “우리 보라고 남겨 둔 건가 싶을 정도로 채용 비리 증거들이 그대로 있었다”며 “잘못이라는 생각조차 하지 않은 것”이라고 비판했다.

가족 특혜 채용이 계속되자 선관위 인사담당자들이 “가족회사, 지긋지긋하다”며 자조 섞인 대화를 나눈 것으로도 감사 과정에서 드러났다. 김세환 전 사무총장의 아들은 경력 채용된 뒤 직원들 사이에서 ‘세자’로 불렸다.

2021년 한 해에만 6명의 선관위 전현직 인사들이 채용됐는데 이 과정에서 일부는 선관위가 원 소속 지방자치단체장의 전출 동의 없이 임의로 의원 면직하게 한 뒤 임용했다. 이에 대해 “감사원에 감사를 요청하겠다”는 지자체장들의 불만이 나오자 중앙선관위 인사담당자는 “징계받더라도 예전에 받은 표창이 있어서 괜찮다”며 개의치 않는 모습을 보였다고 한다.

감사원은 2019년과 지난해 선관위 정기감사에서도 잇따라 경력 채용 심사 과정을 문제 삼았다. 감사원 관계자는 “정기감사 때도 선별적으로 자료를 줘서 이렇게 집중적으로 채용 비리를 파악하게 된 건 처음”이라고 했다.
허백윤 기자
2024-05-02 2면
많이 본 뉴스
공무원 인기 시들해진 까닭은? 
한때 ‘신의 직장’이라는 말까지 나왔던 공무원의 인기가 식어가고 있습니다. 올해 9급 공채 경쟁률은 21.8대1로 3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공무원 인기가 하락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낮은 임금
경직된 조직 문화
민원인 횡포
높은 업무 강도
미흡한 성과 보상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