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8.1㎝ 투표용지’ 탓에 20년 만에 수개표…자가격리자 감안 출구조사 보도 18시 15분

‘48.1㎝ 투표용지’ 탓에 20년 만에 수개표…자가격리자 감안 출구조사 보도 18시 15분

서유미 기자
서유미 기자
입력 2020-04-14 17:46
업데이트 2020-04-15 00:59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달라진 개표 풍경

이미지 확대
4·15 총선을 하루 앞둔 14일 서울 종로구 청운효자동 제1투표소인 청운초등학교에서 관계자들이 발열 증상자 및 자가격리자 임시기표소의 방역 작업을 하고 있다. 박윤슬 기자 seul@seoul.co.kr
4·15 총선을 하루 앞둔 14일 서울 종로구 청운효자동 제1투표소인 청운초등학교에서 관계자들이 발열 증상자 및 자가격리자 임시기표소의 방역 작업을 하고 있다.
박윤슬 기자 seul@seoul.co.kr
4·15 총선은 위성정당 난립과 코로나19 사태 영향 속에서 열리면서 선거 결과를 다음날에야 확인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지역구 국회의원의 윤곽은 16일 오전 2시 전후, 투표용지 길이 문제로 20년 만에 수개표가 이뤄지는 비례대표 결과는 같은 날 늦은 오후에야 나올 것으로 전망된다.

이번 총선에서 개표에 걸리는 시간이 늘어난 가장 큰 이유는 총 38개 정당이 후보를 낸 비례대표 선거 투표용지다. 길이가 48.1㎝여서 2002년 지방선거부터 도입된 전자개표기 이용이 불가능해졌다. 결국 선거 사무원이 일일이 손으로 개표하기로 했다.

또 코로나19 자가격리자의 투표가 투표마감시각 직후 진행되는 점도 변수가 됐다. 이번 총선에선 자가격리자들이 일반 유권자의 투표가 끝난 이후에 한 표를 행사한다. 투표 마감시간인 오후 6시 이후 곧장 투표함을 이동시켜 개표를 시작했던 지난 총선과 비교하면 개표 시작 시간이 다소 늦어질 수 있다.

지역구 선거의 최초 개표 결과는 오후 8시쯤 확인될 것으로 예상된다. 다음날 오전 2시쯤엔 개표율이 70~80%에 달해 지역구 의원의 대체적인 윤곽이 드러날 수 있다. 2016년 20대 총선의 평균개표 시간은 7시간 50분이었다.

다만 수개표가 진행되는 비례대표 개표가 늦어지면서 전체 의석 분포는 다음날 늦은 오후에나 결정될 것으로 예상된다. 실시간 개표 상황은 중앙선관위 홈페이지를 통해 확인할 수 있다.

한편 선관위는 이날 자가격리자의 투표가 진행되는 만큼 출구조사 결과보도를 예년보다 15분 늦은 오후 6시 15분에 보도해 달라고 언론사에 협조 요청했다.

서유미 기자 seoym@seoul.co.kr
2020-04-15 2면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