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주-소수정당, 통합비례정당 주도권 놓고 신경전

민주-소수정당, 통합비례정당 주도권 놓고 신경전

하종훈 기자
하종훈, 김가현 기자
입력 2024-02-07 18:10
업데이트 2024-02-07 18:1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민주 “결국 당 시스템서 이뤄질 것”
새진보연합 “의석 순번 교차 배치”

이미지 확대
새진보연합, ‘비례연합정당 추진 방향 제안’ 기자회견
새진보연합, ‘비례연합정당 추진 방향 제안’ 기자회견 용혜인 새진보연합 상임선대위원장이 7일 오전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비례연합정당 추진 방향 제안’ 기자회견을 하고 있다.
뉴시스
더불어민주당이 ‘통합형 비례정당’으로 일부 의석을 소수 정당에 양보하겠다고 강조하면서도 후보 검증 등에서 주도권을 쥐겠다는 뜻을 내비쳤다. 이에 소수 정당 중 참여가 유력한 ‘새진보연합’은 민주당에 비례대표 의석 순번 교차 배치와 지역구 단일화를 제안하는 등 신경전이 본격화되고 있다.

이재명 민주당 대표는 7일 국회에서 “여당은 위성정당으로 비례 의석을 100% 독식하겠다고 했지만, 민주당은 준연동형 비례대표제의 취지를 살리고자 일부 비례 의석을 소수 정당, 시민사회와 나눌 수 있는 방법을 찾겠다”며 기존 입장을 다시 강조했다.

친명(친이재명)계 좌장 정성호 의원은 이날 MBC 라디오에서 “비례대표 본래의 취지와 전문성 있는 분들 영입 측면에서 민주당이 인적 자원이 더 많지 않겠나”라며 “비례연합정당이 만들어지면 추천 인사들에 대한 검증은 결국 민주당의 시스템 안에서 이뤄질 수밖에 없다”고 말했다. 민주당이 주도권을 쥐겠다는 의미다.

반면, 통합형 비례정당 참여가 유력한 새진보연합의 용혜인 상임선대위원장은 이날 기자회견에서 “(비례대표 순번에서) 민주당과 소수 정당의 의석을 서로 번갈아 배치하자”며 ‘민주당 시스템’을 강조한 정 의원의 발언은 “적절치 않다”고 지적했다. 이어 “지역구에서도 1대 1로 과감하게 연합해 300석 싸움에서 이기자. 3월 초까지 속도감 있게 지역구 단일화도 추진하자”고 주장했다.

비례대표뿐 아니라 지역구 단일화까지 진행하는 방안의 경우 거대 야당인 민주당이 수용할 가능성은 매우 낮지만, 향후 협상에서 밀리지 않으려 과감한 제안을 한 것이라는 관측이 나온다. 이외 이래경 전 민주당 혁신위원장이 주도하는 ‘K정치연합’도 통합형 비례정당에 참여할 전망이다.

반면 녹색정의당과 진보당은 아직 관망 중이다. 녹색정의당 관계자는 “현재 여러 의견을 듣고 있는 중으로 아직 정해진 것은 없다”고 말했다. 만일 이들이 불참을 선언할 경우 진보연합을 토대로 다당제 추구의 명분을 구축하고, 반윤(반윤석열) 연대를 강화하려는 민주당의 구상에 균열이 생길 수 있다.
하종훈·김가현 기자
많이 본 뉴스
공무원 인기 시들해진 까닭은? 
한때 ‘신의 직장’이라는 말까지 나왔던 공무원의 인기가 식어가고 있습니다. 올해 9급 공채 경쟁률은 21.8대1로 3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공무원 인기가 하락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낮은 임금
경직된 조직 문화
민원인 횡포
높은 업무 강도
미흡한 성과 보상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