朴대통령, 방중기간 천년고도 시안 방문

朴대통령, 방중기간 천년고도 시안 방문

입력 2013-06-20 00:00
업데이트 2013-06-20 14:09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역대 대통령으론 첫 방문…”중국의 과거ㆍ현재ㆍ미래 함축””우리기업 많이 진출해 한중간 미래협력 잠재력 큰 지역”건설중인 삼성전자 반도체공장 방문 여부 주목

박근혜 대통령은 27일부터 나흘간 진행되는 중국 국빈 방문기간에 진시황릉이 소재한 산시성(陝西省ㆍ섬서성)의 천년고도 시안(西安)시를 방문한다

중국 시안 방문 계획 발표 김 행 청와대 대변인이 20일 오후 춘추관에서 박근혜 대통령의 중국 시안 방문 계획과 일정, 의미 등에 대해 발표하고 있다.  연합뉴스
중국 시안 방문 계획 발표
김 행 청와대 대변인이 20일 오후 춘추관에서 박근혜 대통령의 중국 시안 방문 계획과 일정, 의미 등에 대해 발표하고 있다.
연합뉴스


김행 청와대 대변인은 20일 브리핑에서 “박 대통령은 6월27일부터 2박3일의 일정으로 중국의 베이징을 국빈방문하고 이어 6월29일부터 중국의 지방도시인 시안을 국빈방문할 예정”이라고 발표했다.

박 대통령의 시안 방문은 우리나라 대통령으로는 처음이다. 그간 역대 대통령들은 중국의 지방도시로 상하이(上海) 4차례, 청두(成都)와 칭다오(靑島)를 묶어 한 차례 방문했다.

박 대통령은 시안 현지에서 우리 진출기업을 시찰하는 한편 한국인 간담회, 유적지 시찰 등을 한 뒤 30일 오후 귀국한다.

김 대변인은 박 대통령의 국빈방문 행사의 지방 방문도시로서 시안이 선정된 배경에 대해 “시안은 3천년의 역사를 가진 문화의 고도이고 서부대개발의 거점이며 중국 3대 교육도시의 하나로 중국의 과거와 현재, 미래를 함축적으로 담고 있는 곳”이라고 설명했다.

또 “고대 실크로드의 시발점인 시안은 한국과 중국 서부지역간의 교류ㆍ협력의 중심지로서 우리 기업이 많이 진출해 있으며 또 앞으로도 진출할 것으로 예상된다”며 “장기적으로 우리 기업의 중앙아시아 및 유럽 진출의 전진기지 역할을 하는 등 한중간 미래협력의 잠재력이 매우 큰 지역”이라고 덧붙였다.

산시성의 성도인 시안은 한나라에서 당나라에 이르기까지 1천여년간 국도로 번영한 역사적 고도로 과거 장안(長安)이라는 이름으로 불렸다. 진시황릉과 병마용갱 등 역사적 유물이 많아 중화민족의 요람으로도 일컬어진다.

특히 삼성전자가 이곳에서 중국내 역대 최대 투자규모의 시안반도체 공장을 짓고있어 박 대통령이 이곳을 방문할지 주목된다.

이에 대해 김 대변인은 “(우리 기업체 중에 어디를 방문할지는) 아직 결정이 안됐다. (대통령의) 재가가 아직 안났다”고 말했다.

시안에는 LG상사와 심텍, SK텔레콤, KMW, 다산네트웍스 등 다른 기업도 많이 진출해 있어 박 대통령이 삼성전자 반도체공장을 가지 않는다면 이 가운데 하나를 선택할 것으로 보인다.

이어 김 대변인은 역대 우리 대통령의 중국방문시 전통적 제2방문지인 상하이 대신 시안시를 방문키로 한데 대해 “지방 방문 지역도 지리적으로 다변화시킬 필요가 있다는 점이 고려됐다”며 “박 대통령은 시안 방문 기간 산시성 고위 지도자들을 접견하고 산시성과의 협력증진 방안에 대해서도 논의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또 “박 대통령의 시안 방문은 역대 국빈들의 중국 방문에 있어서 처음 이뤄지는 것으로서 정부의 국정기조인 경제부흥과 문화융성 측면에서 한중간 양국간 경제협력을 더욱 확대하고, 양국간 문화교류를 촉진시켜 한중간 전략적 협력 동반자 관계를 내실화하는데 기여할 것으로 기대한다”고 밝혔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