朴대통령 “선진·신흥국 동반성장 강화”

朴대통령 “선진·신흥국 동반성장 강화”

입력 2013-09-06 00:00
업데이트 2013-09-06 00:21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러 G20정상회의 선도 발언… 지역금융안전망 역할 강화 등 G20 3대 정책공조 방향 제시

박근혜 대통령은 5일(현지시간) 글로벌 금융시장의 위기 대응 방안으로 지역금융안전망(RFA)의 역할 강화 등을 제안했다.
G20 정상 제1세션 회의
G20 정상 제1세션 회의 박근혜 대통령이 5일(현지시간) 러시아 상트페테르부르크 콘스탄틴궁에서 개막한 주요 20개국(G20) 정상회의 제1세션에서 각국 정상들과 회의를 하고 있다. 왼쪽부터 터키 레제프 타이이프 에르도안 총리, 박 대통령, 브라질 지우마 호세프 대통령, 미국 버락 오바마 대통령.
상트페테르부르크 연합뉴스
박 대통령은 이날 러시아 상트페테르부르크 콘스탄틴궁에서 ‘성장과 세계경제’를 주제로 열린 주요 20개국(G20) 정상회의 제1세션 선도발언을 통해 선진국과 신흥국의 공조를 위한 G20의 3대 정책공조 방향을 제시하면서 이같이 밝혔다.

박 대통령은 G20의 3대 정책공조 방향과 관련, ▲국제 금융시장의 위기대응 체제 강화 ▲지속가능한 경제성장과 시장 신뢰 확보를 위한 재정건전화 노력의 중요성 ▲세계경제의 동반 성장을 위한 구조 개혁과 무역 자유화 노력을 요청했다. 박 대통령은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신흥국이 세계경제 성장에 기여했듯이 선진국도 경제 정상화 과정에서 공동체 의식을 갖고 신흥국의 어려움을 배려해야 한다”고 강조하면서 보호무역조치 동결을 2016년까지 연장하자는 의장국 러시아의 제안에 적극 지지를 표명했다.

박 대통령은 특히 미국의 양적완화 정책에 대한 출구전략을 둘러싼 논란과 관련, “2008년 세계적 경제 위기를 빨리 극복한 데는 신흥국의 협조가 많은 도움이 됐다. 신흥국이 세계시장의 수요를 창출한 측면도 많았는데 이제 선진국이 하자는 대로만 하면 신흥국이 어려워지지 않겠느냐”면서 “신흥국의 입장도 고려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박 대통령은 앞서 콘스탄틴궁 양자회담장에서 이탈리아 엔리코 레타 총리와 G20 첫 양자 정상회담을 갖고 창조경제를 중심으로 한 양국 간 경제협력 방안을 논의했다.

박 대통령은 “내년 한·이탈리아 수교 130주년을 계기로 양국이 긴밀한 우호협력관계가 되기를 희망한다”며 “이탈리아는 파워풀한 브랜드와 기술력을 갖고 있고, 한국은 생산력과 판매망을 갖고 있어 제3국 시장에 함께 진출하는 것도 바람직하다”고 말했다.

상트페테르부르크 오일만 기자

oilman@seoul.co.kr

2013-09-06 1면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