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택 2012 민심탐방-내게 대선은 [ ]다] 세 후보 ‘베이비부머 공약’은

[선택 2012 민심탐방-내게 대선은 [ ]다] 세 후보 ‘베이비부머 공약’은

입력 2012-11-05 00:00
업데이트 2012-11-05 00:09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朴, 재취업·창업 지원 강화 文, 국민연금 국가지급 보장 安, 노인형 일자리 확충 주력

박근혜 새누리당, 문재인 민주통합당, 안철수 무소속 후보 등 주요 대선 후보들은 베이비붐 세대를 위한 구체적이고 현실적인 대책을 내놓지 못하고 있다. 복지분야 공약의 한 부분에 포함시켜 얼개만 보여주는 정도다. 퇴직 이후 국민연금 수령 시기(62세 전후)까지의 공백기간에 대한 대책 등 베이비부머들의 피부에 와닿을 만한 내용은 아직 언급하지 않았다.

세 후보는 60세 정년 법적 의무화에는 찬성하는 기류다. 1955~1957년생 대부분은 일반 직장의 정년 55세를 이미 넘겨 60세 정년 연장은 ‘그림의 떡’일 뿐이고, 중·고령자 일자리 창출 대책 등도 구체적이지 못하다. 세 후보가 표가 훨씬 많은 청년 일자리 창출을 우선하기 때문이다.

●빅3, 60세 정년 법적 의무화 찬성 기류

박 후보는 60세 정년 법적 의무화에는 찬성한다. 실질적인 정년 연장과 임금피크제를 연계해서 기업부담은 줄이고 현장에 남아 있는 베이비부머들이 혜택을 볼 수 있도록 준비하고 있다. 퇴직한 4060세대의 재교육과 재취업, 창업지원을 대폭 강화하기 위해 재교육기관 확대와 상담전문가 확충 등 재원 마련과 제도 정비에 주력할 계획이다. 박 후보는 최근 “베이비붐 세대의 취업 알선을 위해 원스톱 지원 시스템을 구축하겠다.”고 밝혔다.

문 후보는 베이비부머들이 걱정하는 국민연금 문제와 관련, 국가지급 책임을 법률로 명문화할 계획이다. 여성들을 위해 1인1연금제 기반을 마련하고, 폐업 자영업자에 대한 구직촉진수당(매월 50만원)제를 추진한다. 청년과 퇴직자 간 세대 융합형 창업 및 일자리 창출을 지원해 ‘세대 간 일자리 경쟁’을 예방한다는 구상을 갖고 있다. 문 후보는 법정 정년 60세 도입은 물론 이미 베이비붐 세대 홍역을 치르며 정년을 늘린 일본처럼 65세까지 단계적으로 정년을 연장하려 한다.

●‘복지 공약’에 포함… 구체적 대책 미흡

1962년생으로 세 후보 중 유일하게 베이비붐 세대인 안 후보는 세부계획은 아직 확정하지 않았지만 노인형 일자리 확충에 주력할 예정이다. 현역에서 활동 중인 베이비부머들을 위해 임금피크제와 연계해 법정 정년을 60세로 연장한다는 구상이다. 기업들의 부담을 고려했다. 안 후보는 연령에 따라 정년을 둔다는 것이 불합리하다고 보고 점진적으로 정년을 폐지하는 것도 검토 중이다. 베이비부머들의 퇴직 후 일자리와 관련, 퇴직인력의 경험을 활용한 일자리를 창출하고 창의적 사회공헌형 일자리, 해외 일자리 대책도 구상 중이다.

이현정기자 hjlee@seoul.co.kr

2012-11-05 5면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