文-安 단일화, 여론조사냐 여론조사+α냐

文-安 단일화, 여론조사냐 여론조사+α냐

입력 2012-11-19 00:00
업데이트 2012-11-19 11:05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安측 요구방식 아닌 양측 제안 방식 놓고 논의 가능성

민주통합당 문재인, 무소속 안철수 대선후보가 19일 단일화 협상을 재개하면서 양측이 어떤 방식에 합의할지 주목된다.

이날 재개된 단일화 실무 협상에서는 문 후보가 ‘단일화 룰 위임’ 의사를 밝힘에 따라 안 후보 측이 먼저 안을 제시할 가능성이 점쳐졌으나, 안 후보 측은 “원점에서 함께 논의할 것”이라고 일축하는 등 초반부터 신경전 양상을 보였다.

문 후보는 전날 “여론조사 방식이든 ‘여론조사+알파(α)’든 단일화 방안을 안 후보측이 결정하도록 맡기겠다”며 큰 틀의 방식은 안 후보 측에 일임하고 구체적 방식만 실무팀에서 논의하는 방안을 제안했다. ‘통큰 양보’ 전략을 취한 것이다.

그러나 안 후보 측은 어느 한 쪽이 안을 제시하기보다는 실무협상팀에서 양측이 모두 생각하는 안을 내놓고 함께 논의해야 한다는 기류가 강하다. 자신들에게 유리한 방식을 택하는 것처럼 비칠수 있다는 우려와 무관치 않아 보인다.

안 후보 측 유민영 대변인은 브리핑에서 “실무팀 논의과정에서 저희가 무언가를 일임받아 결정할 생각은 없다”며 “서로 협의해 최선의 방안을 결정할 것”이라고 밝혔다.

유 대변인은 민주당의 ‘통큰 양보’ 표현에 대해 “‘통큰 양보’는 표현이라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실질적으로는 문 후보 측이 양보한 것이 없다는 캠프 내부의 기류를 반영한 발언이다.

문 후보 측은 양측이 제시하는 다양한 방안을 놓고 논의해보자고 안 후보측이 제안한다면 적극적으로 수용하겠다는 입장이다.

단일화 방식은 후보등록(25~26일)까지 일주일도 채 남지 않은 점을 고려한다면 여론조사가 유력하다는 분석이 나온다. 여론조사를 기본으로 하되 배심원제, 공론조사 등을 ‘+α’로 삼을 수도 있다.

국민경선은 준비기간만 해도 최소 10일이 걸려 이미 물 건너간 방안으로 양측은 보고 있다.

배심원제와 공론조사는 도입 가능성이 남아있다. 배심원제는 미리 배심원단을 선정해 TV토론을 보게한 뒤 지지후보를 묻는 방식이고, 공론조사는 양측이 동수로 선거인단을 모집한 뒤 두 후보의 정보를 제공하고 지지후보를 정하는 방식이다. 선거인단을 대폭 확대할 수 있다는 것이 배심원제와 다르고, 후보의 대한 판단근거를 제공한다는 점이 여론조사와 차이다.

이 두가지 방법은 모두 우발적 변수가 결과를 좌우할 수 있는 여론조사의 부작용을 보완하는 방식이지만 ‘과다 대표성’ 등의 문제가 남아있는 것이 단점이다.

그나마 합의 도출이 늦어지면 여론조사만으로 가지 않겠느냐는 관측도 나온다.

여론조사의 경우도 응답자 선정, 질문 내용, 조사 시기, 조사기관 등을 선정하는 과정이 녹록지 않다. 결과에 결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문구 조정을 놓고도 양측간 치열한 신경전이 예상된다.

지금까지의 여론조사 결과에 비춰보면 문 후보 측은 ‘적합도’를, 안 후보 측은 ‘본선 경쟁력’에 관한 문구를 각각 희망할 것으로 예상돼 절충점을 찾는 데 진통이 있을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여론조사만으로 결정하는 방식은 두 후보 모두 선호하지 않는데다 양측 지지층의 화학적 결합을 이끌어내는데도 미흡하다는 점에 우려를 표시하고 있다.

비공개를 전제로 여론조사를 실시한 뒤 담판으로 하는 아이디어도 나오고 있다.

최종적으로 협상이 결렬될 경우 결국 담판으로 결정하거나 후보 등록 이후 단일화할 가능성도 남아있다.

단일화 룰은 언제 확정될까. 문 후보는 20일을 협상 타결 시한으로 제시한 상태다. 여론조사만으로 하더라도 TV토론 방송사 섭외, 여론조사 기관 선정 과정이 만만치 않다는 것이다.

또 만에 하나 예상치 못한 공정성 시비가 발생할 경우 이를 보정하기 위한 최소한 여유를 가지려면 24일에는 여론조사가 끝나야 한다고 보고 있다.

배심원제나 공론조사의 조사 대상을 최소화한다고 하더라도 2~3일의 준비기간이 필요하기 때문에 20일에는 시행세칙까지 합의해야 경선을 안정적으로 관리할 수 있다는 입장이다.

안 후보 측 유민영 대변인은 협상 시한과 관련해 “데드라인을 정한 바 없다. 최대한 빨리 합의를 도출하는 것이 중요하다”며 “절박한 각오로 임하겠다”고 밝혔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