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택 2012 D-30] 단일화 방식 ‘여론조사 +배심원제’ 선호

[선택 2012 D-30] 단일화 방식 ‘여론조사 +배심원제’ 선호

입력 2012-11-19 00:00
업데이트 2012-11-19 00:27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文 지지층 ‘담판’ 비율 높아 安 지지층 ‘여론조사’ 우세

야권후보 단일화 방식을 놓고 이번 조사 대상자들은 여론조사와 배심원제를 혼용한 방식(41.1%)을 가장 선호했다. 두 후보 간 담판(26.3%)이나 여론조사(21%)가 뒤를 이었다.

그러나 지지후보에 따라 선호하는 단일화 방식은 미묘한 차이를 보였다. 단일화 방법이나 이를 정하기 위한 설문조사 문항에 따라서 역전이 얼마든지 가능한 만큼 유권자들도 지지 후보에게 유리한 방식을 더 선호한 결과로 풀이된다.

문재인 민주통합당 후보 지지층에서는 여론조사만 쓰자(13.8%)는 응답이 확연히 줄면서 여론조사·배심원제 혼용(45.5%), 후보 간 담판(34.7%)을 원하는 비율이 상대적으로 높아졌다. 특히 문 후보 지지자들은 세 후보 지지층 중 담판방식 선호 비율이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여론조사만을 쓰자는 응답 비율은 13.8%로 전체 후보 지지층 중 선호도가 가장 낮았다.

반면 안철수 무소속 후보 지지계층에선 여론조사만 쓰자는 응답이 세 후보 지지층 중 가장 높았다. 여론조사·배심원제 혼용 45.1%-후보 간 담판 25.8%-여론조사 24.2% 순으로 나타났다. 문 후보 지지층과 비교해 후보 간 담판방식은 상대적으로 덜 원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박근혜 새누리당 후보 지지층만 놓고 보면, 여론조사·배심원제 혼용 35.7%-여론조사 24.1%-담판방식 22.3%로 여론조사 선호 비율이 상대적으로 높았다. 박 후보 지지자를 제외한 야권 선호 계층에서는 여론조사·배심원제 혼용 방식 선호도가 45%로 전체 응답자 조사때 보다 높아졌다. 이어 후보 간 담판이 29.1%, 여론조사만 쓰자는 답변이 18.8%였다.

이 중 혼용 방식을 쓰자는 비율은 여성(52.4%)과 20대(53.4%), 경기·인천 거주(49.7%) 계층에서 높게 나타났다. 담판방식을 선호하는 계층은 남성(34.4%)과 50대(36.9%), 대구·경북 거주(38.9%)에서 상대적으로 많았다. 나이별로 보면 50대는 두 후보 간 담판방식으로 야권단일화를 결론지어야 한다고 응답한 비율이 가장 높은 반면, 60대 이상은 여론조사 방식으로 하자(30.8%)는 답변이 가장 많았다. 지역별로는 대구·경북에 이어 서울(34.2%)과 대전·충청(32.3%)에서 담판방식을 선호한 반면, 부산·울산·경남 지역에선 여론조사만 쓰자(25%)는 답변이 전국에서 가장 높았다.

이재연기자 oscal@seoul.co.kr

2012-11-19 4면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