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 경제 2년 연속 ‘플러스’…작년 성장률 1.3%

북한 경제 2년 연속 ‘플러스’…작년 성장률 1.3%

입력 2013-07-12 00:00
업데이트 2013-07-12 13:1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한은 추정 1인당 소득은 137만원 …남한의 19분의 1

북한 경제가 2년 연속 플러스 성장을 기록했다.

1인당 국민총소득(GNI)도 137만1천원으로 전년보다 2.7% 늘었다. 그러나 이는 남한의 19분의 1 수준으로 남북 간 경제 격차는 좁혀지지 않았다.

한국은행은 12일 관계기관 자료를 바탕으로 분석한 ‘2012년 북한 경제성장률 추정 결과’에서 이렇게 분석했다

◇북한 2년 연속 성장…제조업 4년 만에 증가세 전환

지난해 북한의 국내총생산(GDP) 기준 성장률은 1.3%인 것으로 추정됐다. 이는 외환위기 이후 처음 한국의 성장률을 역전한 2008년의 3.1%이후 가장 높은 수준이다.

북한은 2008년 농업 생산 호조와 국제사회의 중유 지원으로 성장률이 잠시 반등했으나 2009년 -0.9%, 2010년 -0.5%로 2년 연속 마이너스를 기록하고서 2011년에는 0.8% 성장했다.

이상용 한은 국민소득총괄팀 과장은 “지난해 농림어업이 호조를 보인데다가 제조업도 증가세로 전환하면서 성장률이 더 높아졌다”며 “제조업은 희천발전소 준공 등으로 전력 사정이 나아진 데 힘입은 것 같다”고 설명했다.

산업별로 보면 명목 GDP의 23.4%를 차지한 농림어업 생산이 3.9% 증가했다. 양돈, 양계 등 축산업의 생산이 12.3% 증가한데다가 벼와 옥수수 등 농작물 생산도 비료 투입량 확대로 늘어난 데 따른 것이다.

제조업(GDP의 21.9%) 생산은 1.6% 늘었다. 제조업의 생산은 2008년 2.6% 증가이후 2009년 -3.0%, 2010년 -0.3%, 2011년 -3.0% 등 3년 연속 마이너스를 기록하다가 이번에 다시 증가세를 보인 것이다.

식료품과 담배 등 생산 증가로 경공업이 4.7% 늘고 중화학공업도 0.2% 증가했다.

광업(GDP의 14.0%)도 석탄 증산에 힘입어 0.8% 증가했다.

전기가스수도업(GDP의 3.5%)도 수력 및 화력 발전 확대로 1.6% 늘었다.

서비스업(GDP의 29.4%)도 0.1% 증가했다. 정부서비스는 0.2% 줄었지만 운수 및 통신(2.0%), 도소매·음식숙박(2.2%) 등이 늘어난 데 따른 것이다.

그러나 건설업(GDP의 7.8%)은 도로 등 토목건설이 줄어 1.6% 감소했다.

◇남북 간 소득 격차는 여전…대외 교역 격차는 다소 줄어

지난해 북한의 국민총소득(명목GNI)은 33조5천억원인 것으로 추정됐다. 한국(1천279조5천억원)과 비교하면 38.2분의 1로 전년과 같았다.

이를 인구로 나눈 북한의 1인당 국민총소득은 137만1천원이었다. 한국(2천558만9천원)과 비교하면 18.7분의 1 수준이다. 2011년(18.6분의 1)과 비슷하다.

대외 교역에서는 격차가 조금 축소됐다.

지난해 한국의 대외교역 규모가 1.1% 감소한 가운데 북한의 대외 교역규모(남북간 교역을 뺀 상품 수출입기준)는 68억1천만달러로 7.1% 늘었기 때문이다.

북한의 수출(28억8천만달러)은 화학제품(38.0%), 동물성생산품(23.6%) 등을 중심으로 3.3% 늘었다. 수입(39억 3천만 달러)은 섬유류(17.6%), 수송기기(6.2%)를 위주로 10.2% 증가했다.

이로써 남북간 대외교역 규모 격차는 북한이 2011년 한국의 169.8분의 1에서 지난해 156.7분의 1로 다소 축소됐다.

지난해 남북 간 교역 규모는 19억7천만달러로 전년보다 15.7% 증가했다. 개성공단을 통한 반출입이 전체의 99.5%를 차지했다.

북한으로의 반출은 기계류(28.2%), 전기전자제품(16.1%)을 위주로 12.1% 증가했고 북한에서 한국으로의 반입은 전기전자제품(25.8%), 섬유류(12.8%) 등 17.5% 늘었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