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방위서 ‘핵·경제 병진’ 천명
북한이 4일 국방위원회 정책국 대변인 성명을 통해 박근혜 대통령의 실명을 거론하며 비난하고 ‘핵·경제 병진 노선’을 공개적으로 다시 천명하는 등 대남 압박 수위를 끌어올렸다. 지난달 21일 이산가족 상봉 연기를 일방적으로 통보한 뒤 보름 가까이 각급 기관을 동원해 대남 비난전을 이어왔는데도 우리 정부가 원칙론을 고수하자 일종의 ‘경고장’을 던진 것으로 풀이된다.북한이 박 대통령을 실명비난한 것은 지난 5월 26일 국방위 정책국 대변인 담화와 7월 1일 조국평화통일위원회(조평통) 대변인 문답에 이어 세 번째다. 표현은 이전보다 과격해졌다. 국방위는 “(박 대통령이)최근 다시 보란 듯이 얼굴을 쳐들고 우리의 존엄과 체제를 함부로 헐뜯으며 역겹게 돌아치고 있다”면서 박근혜 정부를 ‘무지무도한 패륜아 집단’이라고 매도했다. 박 대통령의 실명을 12차례 거론하며 “격에 맞게 입을 놀려야 할 것”, “함부로 날뛰지 말라”는 거친 말을 쏟아냈다. 무엇보다 최고통치기구인 국방위가 직접 나섰다는 점에서 남북 간 대화 가능성은 희박해지고, 경색 국면이 장기화되는 게 아니냐는 분석이 나온다.
다만 박 대통령을 노골적으로 비난하되, 직접적 위협은 자제하고 이후 행동계획을 구체적으로 밝히지 않는 등 나름대로 수위 조절에 고심한 흔적도 엿보인다. 아직까지는 남북관계 개선 가능성을 염두에 두고 조심스럽게 접근하고 있는 것으로 풀이된다.
우리 정부는 즉각 반박했다. 김의도 통일부 대변인은 강한 유감을 표시하며 “초보적인 예의도 지키지 않는 비이성적 처사”라고 비판했다.
북한이 3개월여 만에 핵 병진 노선을 다시 언급한 것은 이란에 쏠린 미국의 관심을 끌고 대화에 나서도록 하려는 다중 포석이란 해석이 나온다. 국방위는 “우리의 핵무장을 해제하려고 분별없이 달려든다면 스스로 제 무덤을 파게 될 것”이라고 위협했다. 양무진 북한대학원대학교 교수는 “북·미 대화나 6자회담이 열리지 않는 한 남북관계의 소강상태는 계속될 것”이라고 내다봤다.
이현정 기자 hjlee@seoul.co.kr
2013-10-05 4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