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란 인공위성 실패에도 北기술 연관성 ‘주목’

이란 인공위성 실패에도 北기술 연관성 ‘주목’

이주원 기자
입력 2020-02-11 01:48
업데이트 2020-02-11 02:17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은하계열 미사일 엔진 4개 묶은 형태…‘피살’ 솔레이마니 추모 음성·사진 실려

이란이 9일(현지시간) 인공위성을 발사하면서 북한과의 장거리 로켓 기술 연관성에 관심이 쏠린다.

이란 국영TV는 이날 수도 테헤란에서 남동쪽으로 약 230㎞ 떨어진 셈난주 이맘호메이니 국립우주센터에서 발사된 인공위성 ‘자파르’가 낮은 속도 탓에 목표 궤도 진입에 실패했다고 보도했다.

아흐마드 호세이니 국방부 우주 프로그램 대변인은 “운반체의 1단계와 2단계 모터가 정상적으로 작동했고 인공위성이 성공적으로 분리됐다”며 “그러나 경로 마지막에 인공위성을 궤도에 올려놓기 위한 필요 속도가 나오지 않았다”고 밝혔다.

이란의 이번 인공위성 발사에는 북한의 기술이 접목된 것으로 분석된다. 지난 1월 미 공군기지를 타격한 ‘키암’ 미사일도 북한의 ‘스커드C형’을 국산화한 것으로 전해졌다.

이번에 자파르 위성을 탑재한 이란의 장거리 로켓은 ‘시모르그’다. 시모르그는 그동안 북한의 장거리 로켓인 ‘은하’ 계열의 유사체라는 주장이 제기돼 왔다.

은하 계열은 중거리 노동미사일 엔진 4개를 묶은 ‘클러스터링’ 기술을 사용한다. 시모르그도 노동미사일 기술이 사용된 ‘샤하브3’ 중거리 미사일의 엔진을 묶어 클러스터링 기술을 사용했다.

미국 국제전략문제연구소(CSIS)는 “시모르그 로켓의 1단은 4개의 샤하브3 엔진 클러스터링을 사용하는데, 은하 1단에서 사용된 4개의 노동미사일 엔진과 같다”며 “그러나 엔진의 구성이 완전히 같지는 않아 기술적 능력에 맞게 설계를 재구성한 것으로 보인다”고 분석했다.

이란은 2009년부터 2012년까지 세 차례에 걸쳐 위성의 궤도 진입을 성공시켰지만 지난해에는 두 차례 모두 궤도 진입에 실패했다. 류성엽 21세기군사연구소 연구위원은 “시모르그와 은하에 사용된 엔진은 구형이라 초기 가속이 어렵다”며 “발사체가 대형으로 바뀌면서 한계를 보이는 것”이라고 말했다.

미국은 이란의 인공위성 발사가 대륙간탄도미사일(ICBM) 개발을 위한 것이라고 주장한다. 반면 이란은 원격탐사와 통신용이라고 반박하고 있다. 이란은 이날 발사된 인공위성에 지난달 미군에 살해된 가셈 솔레이마니 혁명수비대 사령관 추모 음성과 사진이 실려 있었다고 밝혔다.

이주원 기자 starjuwon@seoul.co.kr
2020-02-11 10면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