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관장 예비후보 3배수보다 늘린다

기관장 예비후보 3배수보다 늘린다

입력 2013-06-18 00:00
업데이트 2013-06-18 00:18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靑, 기존 인선관행보다 확대

박근혜 대통령이 공공기관장 등 추가 인선 과정에서 예비후보 풀(pool)을 지금까지의 관행보다 대폭 늘리기로 했다. 특히 집중 검증 대상이 되는 예비후보를 기존의 3배수 관행보다 더 늘리고, 권력 연고가 아닌 능력 중심으로 발탁할 방침이다. 결과적으로 탕평인사와 국민대통합에도 도움이 될 것이란 관측이 나온다.

청와대 관계자는 17일 오전 기자들과 만나 공공기관장 인선에 대해 “예비적으로 집중 검토하는 대상을 새 정부가 출범할 때보다 훨씬 늘리고 두루두루 다양하게 추천을 받는 방식으로 진행하고 있다”고 말했다. 또 “많은 희망자나 추천자 중에서 검토 대상에 올리는 사람 수를 당초보다 많이 늘린 것으로 안다”고 덧붙였다.

청와대가 이날 향후 주요 인선과 관련, 예비후보 범위를 대폭 늘리기로 한 것은 박 대통령 인사 스타일에 변화가 있음을 시사하는 것이다. 예비후보 대상을 넓혀 더 많은 검증을 통해 최고의 적임자를 찾아내겠다는 의지로 보인다. 이 관계자는 공공기관장 인선 과정에서 관치(官治) 논란이 제기되고 있는 것에 대해서는 “인사라는 게 한 사람이 (등용)되면 나머지는 안 되다 보니 불만이나 비판이 있을 수 있다”면서 “하지만 뭔가 일을 하려면 가급적 ‘베스트 오브 베스트’를 골라서 하고 싶지 않겠느냐”고 반박했다.

그럼에도 청와대의 이 같은 공공기관장 인선 시스템 변화는 최근 금융지주사 회장 인선 등을 둘러싸고 강하게 제기된 관치 논란이 적지 않게 영향을 미쳤다는 관측이 나온다. 최근 확정된 KB금융지주 회장, 농협금융지주 회장, 여신금융협회장, 수협은행장, 국제금융센터장 등은 물론 인천국제공항공사 사장과 한국토지주택공사(LH) 사장 등이 관료 출신들로 채워졌다. 여기에 공모가 진행 중인 한국거래소 이사장의 사전 내정설이 흘러나오는 등 공공기관장 인선을 둘러싼 잡음이 계속되면서 청와대 안팎에서 인선시스템 변화 필요성이 강하게 제기된 것으로 알려졌다.

정부 관계자는 “개별 기관별로 기관장 인선이 진행되다 보니 특정 출신에만 집중되는 경향이 있다는 점에서 관료 출신, 민간 출신, 지역 안배 등 전체적인 스크린을 청와대가 하려는 것 같다”고 말했다. 박 대통령의 인선 시스템 변화에 따라 김대중·노무현 정부 등 이른바 진보 정권 출신 인사들의 요직 기용이 늘어날 것이라는 관측도 나온다.

장세훈 기자 shjang@seoul.co.kr

2013-06-18 6면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