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 대통령 “한반도 평화 중대기로…중국 지원 당부”

문 대통령 “한반도 평화 중대기로…중국 지원 당부”

정현용 기자
정현용 기자
입력 2019-12-05 17:04
업데이트 2019-12-05 17:04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왕이 中국무위원 접견…“시 주석 곧 만날 것 기대”

문재인 대통령이 5일 오후 청와대에서 예방한 왕이(王毅) 중국 외교담당 국무위원 겸 외교부장 접견에 앞서 악수하고 있다. 2019.12.5 연합뉴스
문재인 대통령이 5일 오후 청와대에서 예방한 왕이(王毅) 중국 외교담당 국무위원 겸 외교부장 접견에 앞서 악수하고 있다. 2019.12.5 연합뉴스
문재인 대통령은 6일 청와대에서 왕이 중국 외교담당 국무위원 겸 외교부장을 접견한 자리에서 “지금 한반도의 완전한 비핵화와 항구적 평화 구축을 위한 프로세스가 중대한 기로를 맞이하고 있다”며 “핵 없고 평화로운 한반도라는 새로운 한반도 시대가 열릴 때까지 중국 정부가 지속해서 관심을 가지고 지원해주시길 당부한다”고 말했다.

최근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무력사용’ 발언에 대해 북한이 ‘무력응대’를 언급하는 등 한반도 긴장감이 고조되고 있어 중국이 적극적인 역할을 해줄 것을 당부한 것으로 보인다. 왕 부장의 방한은 강경화 장관의 초청에 따른 것으로, 2016년 사드(고고도미사일방어체계) 갈등 이후 처음이다.

문 대통령은 특히 “양국 간 긴밀한 대화·협력은 동북아 안보를 안정시키고 세계 경제의 불확실한 상황을 함께 이겨낼 수 있는 힘이 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이어 “이번 달에 있을 한중일 정상회의 계기에 양국 간의 대화·협력이 더욱더 깊어지길 기대한다”며 “특별히 한반도의 평화를 위한 중국 정부의 긍정적 역할과 기여에 대해 감사드린다”고 덧붙였다.

아울러 “시진핑 주석에게 각별한 안부를 전한다”며 “지난달 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APEC) 정상회의가 연기되는 바람에 만날 수 없게 돼 아쉬웠는데 곧 만나 뵙게 될 것으로 고대하고 있다”고 말했다.

문 대통령은 왕 부장에게도 “한국을 여러 번 방문했지만, 국무위원으로는 첫 방문이어서 더욱 반갑다”며 “왕 위원도 한중 양국 관계 발전을 위해서 (노력)해주길 당부드린다”고 말했다.

이에 왕 부장은 “시 주석과 리커창 총리의 대통령에 대한 가장 친절한 인사를 전하겠다”고 인사한 뒤 “제가 한국을 방문한 것은 한국 측 동료들과 전략적인 소통을 하기 위해서”라고 말했다.

그는 또 미국을 겨냥해 “현재 국제 정세는 일방주의와 강권정치의 위협을 받고 있다”며 “중한 양국은 이웃으로서 제때 대화·협력을 강화해 다자주의·자유무역을 수호하고 기본적인 국제 규칙을 잘 준수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왕이(王毅) 중국 외교담당 국무위원 겸 외교부장이 5일 오후 청와대에서 문재인 대통령 예방 전 노영민 비서실장과 대화하고 있다. 오른쪽은 김현종 국가안보실 2차장. 2019.12.5 연합뉴스
왕이(王毅) 중국 외교담당 국무위원 겸 외교부장이 5일 오후 청와대에서 문재인 대통령 예방 전 노영민 비서실장과 대화하고 있다. 오른쪽은 김현종 국가안보실 2차장. 2019.12.5 연합뉴스
그는 “중한 관계는 양국 정상의 전략적인 견인 하에 발전하는 추세를 유지하고 있다”고 말했다. 아울러 “양국 간 교역액은 이미 3000억 달러를 돌파했고, 인적교류도 이미 1000만명을 넘었다”며 “중국 교역의 전면적 심화와 개방 확대에 따라 중한 관계는 더 넓은 발전 공간을 맞이할 수 있을 것”이라고 밝혔다.

또 “어제 저는 강경화 장관과 이런 문제에 대해 깊이 있고 허심탄회하게 의견을 교환하고 일련의 새로운 공동 인식을 도출했다”고 소개했다.

그러면서 “다음 단계에 우리가 해야 할 것은 이번 달 예정된 문 대통령의 중국 방문을 잘 준비해 이를 통해 중한 관계 발전을 추진할 뿐 아니라 중한일 3자 간 협력도 잘 추진해야 한다고 생각한다”며 “대통령의 중요한 의견을 잘 청취해 시 주석에게 잘 보고하겠다”고 전했다.

정현용 기자 junghy77@seoul.co.kr
많이 본 뉴스
공무원 인기 시들해진 까닭은? 
한때 ‘신의 직장’이라는 말까지 나왔던 공무원의 인기가 식어가고 있습니다. 올해 9급 공채 경쟁률은 21.8대1로 3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공무원 인기가 하락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낮은 임금
경직된 조직 문화
민원인 횡포
높은 업무 강도
미흡한 성과 보상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