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北 연평도 공격 이후] 이주단지·안전망 조성이 귀향 열쇠

[北 연평도 공격 이후] 이주단지·안전망 조성이 귀향 열쇠

입력 2010-12-02 00:00
업데이트 2010-12-02 01:2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기로에 선 연평도

피란 나온 연평도 주민들은 언제 돌아갈 것인가. 언제, 얼마만한 인원이 섬으로 돌아갈지 현재로서는 가늠하기 어렵다. 주민들의 요구조건을 정부 및 인천시가 얼마나 수용하느냐가 귀향 시기 및 인원을 결정하는 변수로 작용할 전망이다.

피란민들은 ‘인천시장과의 대화’에서 “연평도에 다시 들어간다고 해도 불안해서 살 수 있겠느냐.”면서 “주민의 70∼80%가 육지 이주를 원하고 있다.”고 주장했다.

하지만 시일이 지나고 주민들이 심리적 안정을 되찾으면 대부분 연평도로 되돌아갈 것이라는 시각이 적지 않다. 특히 ‘꽃게’라는 연평도의 확실한 생계보장 품목을 포기하기에는 현실적 여건이 녹록지 않다. 연평도에 남아 있는 한 주민도 “당국이 거액의 정착금을 주고 뚜렷한 직장을 마련해 주지 않는 한 육지로 이주할 사람은 많지 않을 것”이라고 말했다.

주민들이 연평도에 재정착하는 데는 시일이 걸릴 수 있다는 견해도 나온다. 주민들이 원하는 귀향조건과 정부나 인천시가 생각하는 지원책 사이에 차이가 클 경우 재정착 협상에 난항이 예상되기 때문이다. 시는 기반시설 복구에 필요한 재원조차 충분하지 않다고 하소연한다.

따라서 연평주민들의 귀향을 위한 필요충분조건이 성숙되지 않은 상태에서 주민들의 섬 복귀까지는 시간이 필요하다는 예상이 설득력을 얻고 있다. 연평면사무소 관계자는 “복귀하는 주민들이 잇따르고 있지만 아직은 소수인 데다 집을 돌보기 위해 잠시 들어온 사람도 있다.”고 말했다.

결국 남북관계 정상화 여부, 섬내 이주단지 조성, 방공호를 비롯한 안전망 구축 등에 따라 주민들의 귀향 속도가 결정될 것으로 보인다. 북한군의 포격 이후 섬에 남은 주민은 19명에 불과했으나 1일 현재 복귀 주민은 59명으로 늘었다.

김학준기자 kimhj@seoul.co.kr
2010-12-02 4면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