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동서 나흘새 5차례 구제역 발생…확산 양상

안동서 나흘새 5차례 구제역 발생…확산 양상

입력 2010-12-02 00:00
업데이트 2010-12-02 11:3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경북 안동 지역에서 지난 29일이후 불과 나흘만에 모두 5차례나 구제역이 발생한데 이어 2일낮 7번째 구제역 의심신고가 접수돼 정부 당국과 지방자치단체에 비상이 걸렸다.

 특히 이번 의심 신고 지역은 1차 구제역 발생지로부터 남서쪽으로 27km나 떨어진 곳으로 구제역 관리지역(10∼20km)을 벗어난 곳이어서 이번 구제역이 확산되는 것 아니냐는 우려가 나오고 있다.

 농림수산식품부는 2일 “경북 안동시 풍천면 금계리 한우농가에서 소들이 ‘침흘림’ 현상을 보여 구제역 의심신고가 들어왔다”면서 “구제역 여부 판정은 오늘 저녁께 나올 예정”이라고 말했다.

 지금까지 안동에서 나흘새 5차례 발생한 구제역은 모두 1차 발생지로부터 모두 경계지역(10km) 이내에서 발생했다.이번 의심 신고가 구제역으로 확정되면 관리지역을 벗어나게 돼 인근 시.군으로 확산되는 것은 ‘시간문제’가 될 것으로 보인다.

 이번 구제역이 향후 1∼2주내에 인근 시.군으로 확산되는지 여부가 이번 구제역 사태의 최대 분수령이 될 전망이다.

 이런 가운데 이번 안동 구제역 매몰대상 가축수가 올해 4∼5월에 발생한 김포.강화 지역 구제역 당시 매몰가축수인 4만7천여두를 넘어선 5만3천여두로 집계돼 당국과 축산농가의 애를 태우고 있다.

 이에 따라 농림수산식품부를 비롯한 검역.방국 당국과 경북도 등 지자체는 공.항만에 대한 검역을 강화하고 안동은 물론 인근 의성,보령 지역에까지 방역을 강화하고 있다.

 앞서 농식품부는 이날 오전 “경북 안동시 와룡면 라소리,가야리,이천동에 각각 소재한 한우농가에서 신고된 구제역 의심 증상은 모두 구제역으로 판정됐다”고 밝혔다.

 이번 구제역으로 가축 매몰은 144개 농가의 5만3천250두로 늘어났다.지금까지 25개 농가의 1만8천654두가 매몰됐고,나머지 119개 농가의 3만4천596두는 조만간 살처분.매몰될 예정이다.

 농식품부는 구제역이 추가로 발생,확산되는 것을 막기 위해 지난 1일부터 전국의 가축시장 85곳을 모두 폐쇄했다.

 또 경북 안동 지역에 이동통제 초소 79개를 설치한 것을 비롯해 강원 3곳,충북 8곳,충남 2곳,경남 22곳 등에 초소를 설치해 안동 지역 구제역이 다른 지역으로 확산되는 것을 막고 있다.

 안동 구제역으로 우리나라가 지난 9월 다시 획득한 구제역 청정국 지위가 박탈됐다.이에 따라 청정국 지위 획득 이후 본격적으로 재개됐던 국내 축산물의 해외수출길도 다시 막히게 됐다.

 이번 구제역 파동으로 500g당 한우(1등급 등심) 소비자 가격은 지난 11월 평균 3만6천335원에서 12월1일에는 3만5천231원으로 떨어졌고,돼지고기(삼겹살)도 500g을 기준으로 지난 11월30일 8천472원에서 12월1일 8천401원으로 낮아지는 등 경북도를 비롯한 전국 축산농가의 피해가 우려된다.

 이에 따라 농식품부는 살처분 보상금 146억원,긴급방역비 24억원,축산농가 생계안정비 5억원 등을 긴급지원하기로 했다.

 아울러 세관 및 출입국관리소 등과 협력해 인천공항 등 14개 공.항만에 대한 국경검역을 강화하고,해외여행객 입.출입이 많은 인천.김해.제주 공항을 대상으로 집중적인 검역을 실시할 방침이다.

 이런 가운데 5차례나 구제역이 발생한 안동 지역 한 농가에서 구제역 의심 증상이 다시 발견돼 방역 당국 관계자들이 구제역 의심 증상인지를 조사하고 있다고 농식품부는 전했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