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평도 취로사업 주민의견 엇갈려…면 ‘어쩌나’

연평도 취로사업 주민의견 엇갈려…면 ‘어쩌나’

입력 2010-12-05 00:00
업데이트 2010-12-05 10:58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연평도 잔류 주민의 생활안정과 신속한 피해 복구를 위해 인천시가 추진한 연평 주민 특별취로사업이 주민들 간 의견 불일치로 시작부터 난항을 겪고 있다.

 5일 오전 9시께 연평면사무소 2층 회의실.

 연평도에 남아있던 주민 5∼6명이 면사무소의 안내방송을 듣고 특별취로사업에 참여하기 위해 모였다.

 이들은 대부분 사태가 난 지난달 23일부터 지금까지 단 한 번도 섬을 떠나지 않았거나 며칠 전 김장 등을 위해 섬을 다시 찾은 주민들이었다.

 면사무소는 이날 참가자들의 신청을 받고 특별취로사업의 취지와 계획을 설명하기 위해 하루 전부터 온 마을에 안내방송을 해 놓은 상태였다.

 면사무소 현관 한편에는 취로사업에 쓸 마대자루와 목장갑까지 준비해뒀다.

 그러나 곧 주민 1명이 회의실에 들어와 모여 있던 주민들이 집에 돌아가도록 설득하기 시작했다.

 차모(70)씨는 “지금 정부에서 취로사업을 한다는 건 인천에 있는 주민들보고 그냥 들어가서 살라는 것밖에 안 된다”며 “지금 아무것도 정부와 합의된 게 없는데 취로사업을 한다면 그 사람들이 안 들어오려고 하겠느냐”라고 목소리를 높였다.

 이에 취로사업에 참여하려던 주민들은 “그래도 남은 사람들은 살아야 하지 않느냐”며 답답한 심정을 토로했다.

 신모(70)씨는 “여기서 부득이 못 나가는 사람들도 있는데 그럼 어쩌란 말이냐.여기 있는 사람들이 바깥사람들 하는 일에 어떻게 동참을 하느냐”며 하소연했다.

 채모(80.여)씨도 “정부 대책이 나올 때까지 이런 거라도 해서 살아야 하는데‥”라며 말을 잇지 못했다.

 정모(87)씨는 “생계가 문제니까 일이라도 시키면 해야겠는데,전혀 문제 해결이 안 되니까 주민들도 결정을 못 하는 것”이라고 답답해했다.

 주민들은 짧은 승강이 끝에 결국 각자 집으로 돌아갔다.

 면사무소 관계자는 “오늘 사업 취지를 설명하고 내일부터 일을 시작하려고 했는데 의견들이 안 맞아서 그냥 돌아갔다”며 “어제 126명이 남은 걸로 집계돼서 많은 분이 올 줄 알았는데 생각보다 많이 안 오신다”라고 아쉬워했다.

 이 관계자는 “취로사업을 해야 주민들이 들어오고 그래야 빨리 복구가 된다”며 “1명이라도 신청을 하면 사업은 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앞서 인천시는 예비비 5억원을 긴급 투입해 주민들이 현지 피해 복구작업에 참여하면 1일 6만원의 임금을 지급하기로 하고 특별취로사업을 추진했다.

 특히 포격 피해를 본 주민이 참가 신청한 뒤 자신의 집을 수리해도 사업에 참가한 것으로 인정해 임금을 지급하기로 했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