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경련 “정운찬 사퇴, 논평할 가치 없어”

전경련 “정운찬 사퇴, 논평할 가치 없어”

입력 2012-03-29 00:00
업데이트 2012-03-29 14:17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재계 관계자 “전경련 발전적 해체에는 동감”

정운찬 동반성장위 위원장이 29일 전경련과 재계에 불만을 쏟아내며 직격탄을 날리고 사퇴하자 당사자인 전경련과 재계가 논평 자체를 거부하며 불편한 심기를 드러냈다.

재계의 입장을 대변하는 전국경제인연합회는 정 위원장 사퇴 이후 공식 논평을 내지 않은 채 거론 자체가 필요 없다는 반응을 보이고 있다.

전경련 관계자는 “정 위원장이 이슈메이커로서 그렇게 하려는 의도가 있는 것 같다. 거기에 대해 일일이 논평할 계획이 없다”고 강한 불만을 표시했다.

그는 그러면서 “정 위원장이 그동안 사실 많이 무리를 해 왔다. 초과이익공유제도 개념이 문제가 많았었지만 본인이 어떻게든 모양새만이라도 통과 되는 걸 원해서 결국 협력이익배분제라는 이름으로 통과된 것이다”고 잘라 말했다.

이 관계자는 “대부분 내용도 성과공유제가 많이 들어가 있다. 그런데 본인은 기업이나 전경련의 비협조로 당초 개념에서 후퇴했다고 이야기 하지만 그것은 아니다. 현실성 있는 이야기를 해야 하는 것 아니냐. 그래서 벌어진 일이다”고 지적했다.

재계 역시 정 위원장의 발언에 대해 반응이 싸늘하기는 마찬가지다.

한 4대그룹 임원은 정 위원장 사퇴에 대해 “(재계를) 실컷 욕하고 간 사람에 대해 뭐라고 하겠나. 특별히 할 말은 없다”며 언급을 자제했다.

반면 또 다른 4대그룹 임원은 정 위원장이 전경련에 대해 발전적 해체를 언급한 것이 적절했다는 평을 내리기도 했다. 재계 대변자로서 전경련의 역할이 미흡하다는 인식이 재계에 넓게 퍼져 있다는 뜻이다.

이 임원은 “정 위원장의 언급이 다 옳은 것은 아니다. 그러나 전경련의 역할에 대해서는 발전적 해체 혹은 큰 틀의 변화가 필요하다고 본다”며 “향후 정권이 바뀌고 정치권의 역학관계가 바뀌게 되면 전경련이 무사하기는 힘들 것이다”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오죽하면 대기업 회장들이 (회장단 회의) 참석 자체를 꺼리겠나. 매년 비싼 돈(회비)을 내는데, 그동안 전경련이 무었을 했는지 스스로 고민해 봐야 한다”며 “정치권과 여론이 대기업에 대해 나쁜 방향으로 흐를 때 전경련이 의제를 먼저 설정하고 대응 이론을 만들어 기업들을 독려해 돌파해 나가야 하는데 지금은 그게 반대로 됐다. 기업들이 두들겨 맞는 동안 전경련이 한 것이 뭐가 있냐?”고 꼬집었다.

뉴시스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