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 올레길 안전대책…누리꾼 ‘갑론을박’

제주 올레길 안전대책…누리꾼 ‘갑론을박’

입력 2012-08-02 00:00
업데이트 2012-08-02 15:02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강력한 대책 주문” vs “올레 가치 훼손 안돼”

“행정자치부의 제주 올레길 CCTV 설치계획은 정말 잘한 것입니다.”

”제주 올레 1코스가 어서 빨리 ‘치유의 길, 힐링의 장소’로 되돌아오길 간절히 바란다.”

㈔제주올레 인터넷 홈페이지(http://www.jejuolle.org) 게시판에 올라온 올레길에 대한 안전대책과 그에 대한 반박의 글이다. 제주 올레길 탐방객 살해사건 이후 올레길 안전에 이목이 쏠렸다.

행정자치부는 이 사건을 계기로 산책로에 폐쇄회로(CC)TV 설치의 법적 근거가 되는 ‘보행안전 및 편의증진에 관한 법률’ 개정안을 입법예고했다. 또 경찰은 범죄 예방과 발생 시 신속한 검거를 위해 CCTV 설치를 적극적으로 주장하고 나섰다.

그러나 길을 걷는 사람의 탐방과 휴식이라는 올레의 가치를 훼손해서는 안 된다는 반대 입장과 함께 이런 정부의 대처가 즉흥적이라는 비판도 만만치 않다.

최근 제주도에서 열린 ‘올레길 안전 비상대책회의’에서는 이런 이견들이 첨예하게 드러나기도 했다.

올레길 살인사건 이후 ㈔제주올레 인터넷 홈페이지에는 이런 상황을 보여주는 70여개의 게시글과 수많은 댓글이 올라와 있다.

올레길 내 CCTV 설치를 옹호하는 입장을 편 한 누리꾼은 “성폭행은 힘이 약한 여성들이 당한다. 귀한 생명을 (명상 등이라는 올레의 가치와) 바꿀 수 없다”고 주장했다.

다른 누리꾼은 “대책을 세울 때는 더디더라도 근본적으로 세워야 한다”며 이런 입장에 반대 의견을 분명히 밝혔다. 또 “CCTV가 만능이 되는 사회가 슬프다”는 글도 눈에 띈다.

전직 탐사대장이라고 밝힌 한 누리꾼은 “이번 사건으로 비영리 사단법인 제주올레에 돌을 던지려 한다. 수많은 제주 올레 자원봉사자들은 죄인이 아니다”라는 안타까움의 글을 남기기도 했다.

그러나 누리꾼 모두 안타까운 사건이라면서 합리적인 결론이 나오기를 바랐다.

한편 제주도는 오는 7일까지 ㈔제주올레 및 유관기관과 합동으로 제주도 내 올레 22개 코스를 대상으로 올레길 안전취약요인 합동조사를 한다.

이번 조사에서는 코스별로 오름과 숲 내의 위험지역과 여성탐방객 취약성 등을 중점 파악하며, 조사결과에 따라서는 CCTV 설치 여부를 검토한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