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혹서지 합천군요? 억울한 오해 풀어주세요”

“혹서지 합천군요? 억울한 오해 풀어주세요”

입력 2012-08-04 00:00
업데이트 2012-08-04 01:32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기상청 관측소 해발 낮은곳에 위치… 타지역에 비해 기온 높게 측정돼

찜통지역으로 꼽히는 경남 합천군이 기상청에 합천기상관측소 이전을 요구하고 나섰다. 기상관측소가 해발이 낮은 곳에 위치해 기온이 높게 측정되는 탓으로 지역경제에 악영향을 주고 있다는 이유에서다.

합천기상관측소에서 측정된 기온은 지난달 30일에는 섭씨 37도로 전국 최고치를 기록했다. 같은 달 28일에는 36.8도, 31일에는 37.4도로 밀양에 이어 두번째로 기온이 높았다. 합천읍 합천리에 있는 기상청의 기상관측소(1971년 1월 1일 건립)는 해발이 33m로 낮은데다 주변에 문화예술회관과 교육청을 비롯한 3~4층의 건물이 둘러싸고 있어 기온이 높게 측정될 수 있다는 것이 합천군의 판단이다. 이에 따라 합천군은 기상관측소에서 사용하는 것과 같은 기온측정 장비를 합천읍 충혼탑 뒤 옛 정수장 부지에 설치해 지난달 4일부터 기온을 측정하고 있다고 3일 밝혔다. 군이 임시로 기온측정장비를 설치한 곳은 해발이 74m로 높아 통풍이 잘되고 주변에 건축물도 없다. 군은 정수장 부지와 기상관측소 2곳에서 최근까지 측정된 기온을 비교한 결과 정수장 뒤에서 측정된 것이 0.7~2도 낮게 나오는 등 평균 1도쯤 낮게 측정됐다고 밝혔다. 합천군은 다음 달 3일까지 두달 동안 기온을 측정한 뒤 기상관측소에서 측정한 기온과 비교 분석해 기상청에 이전 요구 자료로 제출할 계획이다. 합천군 이한두 재난방재담당은 “합천군이 여름 혹서 지역으로 보도되면서 피서·관광객 감소 등 지역 경제에 부정적인 영향이 우려된다.”고 말했다.

이와 관련, 부산지방기상청은 기상관측소는 한 곳에서 수십년 동안 기후를 측정해 자료로 활용하기 때문에 장소를 옮기면 연속성과 자료 대표값 등에 문제가 생길 수 있어 이전은 쉽게 결정할 사안이 아니라며 난색을 표하고 있다. 부산기상청 관계자는 “기압골이 어디에 배치되느냐에 따라 지역마다 그때그때 근소한 차이로 최고 기온이 달라지기 때문에 최고 기온에 민감해할 필요는 없다.”고 밝혔다.

합천 강원식기자 kws@seoul.co.kr



2012-08-04 10면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