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못 믿을 대학병원’ 건강검진 정상 소견후 암

‘못 믿을 대학병원’ 건강검진 정상 소견후 암

입력 2012-08-08 00:00
업데이트 2012-08-08 14:23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최첨단 장비를 갖췄다는 대학병원의 건강검진 오진 사례가 가장 많을 것으로 밝혀졌다. 특히 우리나라 국민의 사망원인 1위를 차지하는 암 오진 때문에 건강검진 맹신이 오히려 화를 키운 것으로 나타났다.

8일 한국소비자원에 따르면 접수된 암 오진 관련 피해 상담 건수가 지난해 507건으로 2010년 213건보다 138%나 늘었다. 2009년에는 247건이었다.

피해 상담이 보상 등으로 이어진 사례는 지난해 74건으로 2010년(40건)보다 85%나 증가했다.

암 환자는 매년 17만명이 새로 생기지만 암을 조기에 발견하거나 치료하면 완치할 수도 있다.

그러나 건강검진이나 진료를 받았는데도 오진 탓에 제때 치료를 받지 못해 화를 키운 셈이다.


난 3년간 암 오진 피해자는 40∼60대가 전체의 82.6%(133건)를 차지했다.

연령별로는 50대가 37.3%(60건)로 가장 많았고 40대(38건, 23.6%), 60대(35건, 21.7%), 70대 이상(13건, 8.1%), 30대(12건, 7.5%), 20대(3건, 1.8%) 순이었다.

암 오진이 가장 많은 질병은 폐암으로 전체의 18.6%(30건)에 달했다. 유방암(27건, 16.8%), 위암(21건, 13.1%), 자궁ㆍ난소암(21건, 13.1%), 간암(14건, 8.7%), 대장암(11건, 6.8%), 갑상선암(9건, 5.6%)이 뒤를 이었다.

암을 오진한 이유는 ‘추가 검사 소홀’이 전체의 33.5%(54건)로 최다였다. ‘영상 및 조직 판독 오류’(50건, 31%), ‘설명 미흡’(18건, 11.2%) 등도 많았다.

방사선이나 초음파 화질이 좋지 않아 판독이 어려웠거나 이상 소견이 있어 별도 진단이 필요함에도 정상으로 판독해 암을 조기에 진단하지 못한 사례가 대부분이었다.

암을 오진한 기관은 대학병원이 전체의 33.5%(54건)로 최다였다.

오진으로 암 진단이 지연된 기간은 6개월 미만이 전체의 59.8%(73건)였다. 6개월 이상∼1년 미만이 18.9%(23건)였다. 3년 후 진단된 사례도 3.3%(4건)나 됐다.

암 오진 피해는 ‘치료 지연ㆍ악화’가 전체의 77.9%(95건)로 압도적으로 많았다. 오진으로 제때 치료받지 못해 숨진 사례도 22.1%(27건)에 달했다.

암 오진 배상금은 2009년 5천980만원, 2010년 2억2천220만원, 2011년 2억2천750만원 등 5억2천여만원이다.

소비자원은 암 오진 피해를 막으려면 건강검진 때 과거 병력, 증상 등을 자세히 병원에 알려주라고 당부했다.

검사 결과가 정상으로 통보돼도 신체에 이상이 있으면 즉시 병원 진찰을 받으라고 요청했다.

온라인뉴스부 iseoul@seoul.co.kr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