응급피임약 처방, 도입 첫해보다 3배 늘어

응급피임약 처방, 도입 첫해보다 3배 늘어

입력 2012-08-09 00:00
업데이트 2012-08-09 01:34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年60만건… 사전피임약 복용률은 낮아

성관계를 가진 뒤 원치 않는 임신을 피하려는 목적으로 사용하는 ‘응급 피임약’이 국내에서 연간 60만건 정도 처방되는 것으로 추산됐다. 반면 계획적 피임을 위한 ‘사전 피임약’ 사용률은 매우 낮은 편으로 나타났다. 식품의약품안전청은 8일 응급 피임약의 2010년 국내 생산·수입량은 58만 4035팩(1팩이 1회 사용분)이라고 밝혔다. 응급 피임약이 국내 처음 도입된 건 2002년으로 23만팩 정도가 공급됐다. 2004년 37만팩에서 2008년 63만팩, 2009년 84만팩으로 늘었다. 2010년 들어 생산·수입량이 줄어들기는 했지만 2002년에 비해 3배 가까이 늘어난 것이다. 반면 ‘사전 피임약’ 사용률은 주요 국가에 비해 낮은 편으로 나타났다. 2009년 보건사회연구원 연구에 따르면 한국 여성의 사전 피임약 복용률은 2% 수준으로 프랑스(36.4%), 영국 (26.5%), 미국(14.3%) 등에 비해 매우 낮았다. 이 때문에 피임약 재분류 과정 때 낙태 근절 운동을 벌이는‘진정으로 산부인과를 걱정하는 의사들 모임’은 “강간과 같은 응급 상황에 제한적으로 사용해야 하는 응급 피임약의 복용률은 5%대로 증가해 응급 피임약의 오남용으로 인한 피임 실패 등 여성 건강상의 문제가 늘고 있다.”고 주장했다.

한편 보건복지부는 식약청의 피임약 재분류안과 다른 대안까지 검토하고 있다. 응급 피임약을 의약분업 예외 품목으로 정해 꼭 필요한 경우 약국이 아닌 곳에서 빨리 살 수 있는 방안과 사전 피임약을 용량에 따라 포장을 달리해 전문의약품과 일반의약품으로 동시분류하는 방안 등을 검토하고 있다. 복지부는 이달 안에 결론을 낼 예정이다.

김효섭기자 newworld@seoul.co.kr



2012-08-09 12면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